
김명국 기자 daunso@seoul.co.kr
경기 광주시 퇴촌면에 자리한 ‘나눔의 집’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옥선(오른쪽 두 번째·89) 할머니가 28일 한국과 일본 정부가 발표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타결 소식에 의견을 밝히고 있다. 이 할머니는 “우리는 공식 사죄를 받고 법적 배상을 받아야겠다”면서 재단을 통한 기금 마련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김명국 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기자 daunso@seoul.co.kr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이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협상을 타결한 뒤 일본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서울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위안부 소녀상에 대해 “적절히 이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교도통신이 전했다.
기시다 외무상은 한국 정부가 설립하는 위안부 재단에 일본 정부가 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대해서는 “배상은 아니다”며 “(피해자들의) 명예와 존엄을 치유하기 위한 사업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일한 간의 재산 청구권에 대한 법적 입장(배상 문제는 최종 종결됐다는 것)은 과거와 아무런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일본 정부가 재단에 10억 엔(약 97억 원)을 출자하기로 한 것이 법적 책임을 이행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외교부 당국자는 위안부 소녀상 이전 관련 기시다 외무상의 발언에 대해 “기대감을 표명한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이 당국자는 “오늘 발표 내용을 보면, (위안부 소녀상 관련) 일본 정부의 우려 표명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관련 단체와 협의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보면 된다”며 소녀상 이전에 합의한 것이 아님을 분명히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