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자 회동후 원내전략 부심…강경투쟁 의견 속 역풍우려도
‘청와대 5자 회동’ 이후 정국이 급격히 경색된 가운데,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27일로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의 국회 시정연설을 앞두고 ‘투쟁수위’ 조절에 고심하고 있다.강경론이 거세지는 가운데 원내지도부는 전면 보이콧까지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검토하기로 했지만, 내부에서는 지나친 강경투쟁은 역풍을 불러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종걸 원내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대로 당할 수는 없다. 국회운영 전략을 다시 점검하고 전열을 정비하겠다”고 밝혔으며, 이후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시정연설에 어떻게 대처할지 이제부터 생각해 볼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새정치연합은 애초 ‘정상참여’로 잠정 결론을 내렸지만, 전날 회동이 성과 없이 마무리되자 ‘원점 재검토’로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상황이 이렇게 됐으니 카드를 모두 꺼내 주말에 논의해볼 것”이라며 “시정연설 보이콧도 앞서 아이디어 차원에서 거론된 바 있다”고 설명했다.
아예 회의장에 들어가지 않을지, 입장 후에 단체로 퇴장을 할지 등 구체적 행동지침 등에 대해서는 “아직 얘기를 나눠보지 못했다”고 답했다.
대통령의 입·퇴장시 기립하지 않거나, 박수를 치지 않는 방법, 플래카드 등을 통해 항의의 뜻을 표하는 방법 등도 아이디어 차원에서 흘러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정치연합은 2008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시정연설 당시 단체로 박수를 치지 않은 적이 있었다.
다만 당내에서는 자칫 대통령에 대한 무례로 비쳐질 수 있다는 점을 언급, 정상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새정치연합은 박 대통령의 지난해 10월 국회 시정연설 때에도 별도 지침없이 시정연설을 정상적으로 청취했다.
시정연설 이후 정기국회 전략 역시 고민거리다.
일각에서는 청와대 회동 후 상황이 달라진 만큼 상임위 보이콧 등 강경투쟁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러나 지도부는 여전히 역풍 우려 속에 법안·예산과는 연계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문재인 대표는 이날 대구에서 역사학자 간담회를 진행한 후 기자들과 만나 “당장 (국정화) 고시를 막기 위해 국회 일정과 연계한다거나 예산 심의와 연계하지는 않겠다”며 국회 일정 보이콧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원내대표 역시 “상임위별 보이콧도 가능한가”라는 질문에 “왜 자꾸 보이콧 얘기를 하느냐. 들어가서 열심히 싸우면 된다”고 했다.
원내 관계자는 “오늘 오전 국회의원들의 카카오톡 채팅방에도 ‘친일독재 미화 교과서 반대’ 구호를 그만 써야 한다는 주장이 올라왔다”며 “그만큼 역풍을 조심하자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