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北, 개성공단 임금인상 원하면 당국간 협의해야”
황부기 통일부 차관이 개성공단 임금지급 시한인 24일 오후 입주기업 대표단과 만나 정부 입장을 설명하고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한다고 통일부가 밝혔다.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히고 “최근 개성공단 기업들의 임금 지급을 둘러싼 각종 움직임에 대해서도 우리 정부는 우리 기업들과 긴밀한 협력을 유지함으로써 그동안 기존의 관리위(남측)와 총국(북측) 간에 협의한 기존 임금체계에 따른 임금을 북측에 지급하도록 협조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임 대변인은 “북측도 임금 인상을 진정 원한다면 이것을 일방적으로 우리 기업들에게만 압박을 가할 것이 아니라 관리위와 총국 간 나아가 남북공동위원회 등 당국 차원의 협의에 적극 호응해 나오기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까지 임금 지급을 한 기업은 10여 곳 이상으로, 추가로 임금을 지급한 곳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기업들의 신고를 받거나 또는 기업들을 직접 상담해서 파악을 해야 되기 때문에 정확히 그것을 파악하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임 대변인은 북측이 기존 최저임금 월 70.35달러 기준으로 임금을 납부하는 기업에 월 74달러 기준 차액에 대해 연체료를 납부할 것을 확인하는 담보서를 요구하는 것과 관련, “우리 기업들이 담보서에 서명하지 않도록 자제 또는 권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기업은 기존 관리위와 총국간에 합의된 (월 최저임금) 70.35달러를 기준으로 산정한 임금을 납부하려고 했던 것이고, 북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북측이 연체료를 부과하는 행태는 수용할 수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