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위원 4명 중 2명 ‘친노’ 성향도 내부 논란
‘문희상 비상체제’의 성패가 걸린 새정치민주연합 정치혁신실천위원회가 출발부터 삐걱대고 있다.최근 혁신실천위에 외부인사로 영입된 4명의 면면을 두고 ‘그 나물에 그 밥’, ‘돌려막기’ 인사라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특히 지난해 ‘문희상 1기’ 비대위에서 혁신위원장을 맡은 성공회대 정해구 교수가 이번 2기 혁신위에도 참여한 것을 놓고 비주류를 중심으로 많은 ‘뒷말’이 나오고 있다.
정 교수는 2008년 총선에서 민주당 공천심사위원으로, 2012년 대선에선 문재인 후보 캠프의 새정치위원회 간사를 맡는 등 꾸준히 당무에 관여해왔다.
’88만원 세대’의 저자인 경제 전문가 우석훈 박사도 참신성과 다소 거리가 있는 인사라는 지적이 나온다.
우 박사는 지난 대선 때 문재인 후보를 지원한 범야권의 공조 조직인 ‘정권교체-새정치 국민연대’에 참여했다.
두 학자가 전당대회 출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문재인 의원과 가깝다는 점도 당권을 둘러싼 계파 대립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실제로 두 학자는 그동안 문 의원 편에서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새정치’ 구상을 여러 차례 비판한 바 있다.
비노 진영의 한 의원은 26일 “혁신위 외부위원으로 친노 쪽 전략가들을 영입한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내부 분위기를 전했다.
’돌려막기’ 인사로 혁신위를 꾸린 것은 당이 처한 현실과 위상을 여과없이 드러낸 대목이기도 하다.
우 박사와 ‘스타강사’ 출신의 이범 교육평론가의 경우 지난달 당의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 부원장으로 영입돼 활동하고 있다. 정책 마련에 집중하라고 데려온 사람들을 정치혁신 작업에까지 투입한 것이다.
”게도 구럭도 다 잃게 한 인사”라는 비아냥거림이 나오는 이유다.
혁신위가 깃발을 든 지 한 달 만에 어렵사리 면모를 갖춘 것은 명망 있는 외부 인사가 새정치연합에 몸담기 꺼려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박영선 전 비대위원장이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를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다 당내 반발로 퇴진하는 등 외부 인사 문제를 놓고 심각한 갈등상을 노출한 것이 인재 영입을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