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 국회 운영위에 보고후 상세 경위 발표 예정’대화록’ 유실 가능성 제기…대화록 행방 새 쟁점될 듯
여야 의원 10명으로 구성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자료 열람위원단’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NLL(북방한계선) 포기 취지 발언 여부의 진실을 가려줄 핵심자료인 ‘대화록’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이호정 hojeong@seoul.co.kr
국가기록원 직원들이 18일 2007년 남북 정상회담관련 기록물을 국회로 가져와 운영위원회 회의실로 옮기고 있다.한편 여야 열람위원들이 전날 국가기록원에서 대통령 남북대화 기록물을 찾지 못해 이 기록물은 빠져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호정 hojeong@seoul.co.kr
이호정 hojeong@seoul.co.kr
일각에선 보안 등을 위해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물 보관시스템이 복잡하게 운영되기 때문에 대화록을 아직 찾지 못한 것일 뿐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지만 다른 한쪽에선 대화록의 유실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열람단은 이에따라 18일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고 지금까지 관련 자료 예비열람 결과와 대화록의 존재를 확인하지 못한 경위를 보고할 예정이다.
국회의 정상회담 자료열람 활동에 정통한 정치권 핵심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국회 열람단이 오늘까지 두 차례 예비열람를 하면서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안다”면서 “단순히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 아예 대화록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인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여야 열람위원단은 각각 당 지도부에 이와 같은 상황을 보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는 18일 국회 운영위에서 정상회담 대화록의 존재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몇 차례 국가기록원을 더 방문해 추가 예비열람을 할지, 아니면 현 상황에서 대화록 찾기를 중단할지 결정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가 추가 예비열람을 통해 대화록의 존재 파악에 나설 경우 진실 규명까지 상당 한 시간이 걸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만일의 경우 국가기록원에 대화록 자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 대화록을 누가 언제 어떻게 파기 혹은 별도 보관하고 있는지를 놓고 새로운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노무현 전 대통령측은 대화록을 찾지 못한 것으로 전해지자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노무현재단 김경수 봉하사업본부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참여정부 시절 노 전 대통령에게 보고됐던 문서는 당시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 시스템과 함께 100%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넘어갔다”면서 “국가기록원 시스템은 이지원 시스템과 달리 자료간에 서로 링크가 돼 있지 않아 찾는데 시간이 걸릴 수는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도 “(자료를 찾지 못했다는 것은) 처음 듣는 얘기”라며 “(국가기록원에 대화록 원본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대화록 원본을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왔던 국가기록원은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모른다”는 입장을 전했다.
국가기록원 관계자는 “해당 대화록은 일반 기록물도 아니고 대통령 지정 기록물이기 때문에 법적으로 우리가 볼 수 있는 권한이 없다”며 “볼 수 있는 권한이 없어서 대화록이 존재하는지도 확인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는 박경국 국가기록원 원장과 수 차례 전화통화를 시도했으나, 연락이 닿지 않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