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관심 ‘성추행’에 쏠려 당혹…15일 원내대표 경선 대응 전략
새누리당과 민주당 등 여야 정치권에 ‘윤창중 블랙홀’ 경계령이 내려졌다.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이 여성 인턴 성추행 사건으로 경질된 뒤 모든 정치적 쟁점이 ‘윤창중 의혹’에 매몰돼 다른 정치 사안들이 관심권에서 밀려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17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통과시킨 뒤 민생에 집중하겠다는 여야의 의지를 비웃듯이 윤창중 블랙홀에 정치권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새누리당과 민주당, 진보정의당 등 여의도 정치권은 박근혜 대통령의 방미 이후 모든 여론의 관심이 윤 전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에 쏠리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심지어 새누리당과 민주당의 15일 원내대표 경선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경선에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원내대표의 대여(對與) 투쟁력과 대응력이 주요 포인트로 부각되고 있다. 전병헌 의원은 국정조사와 청문회, 국회조사단의 현지 방문 등을 카드로 꺼내들었고 우윤근 의원은 청와대 수석들에 대한 강도 높은 문책을 거론했다. 새누리당 후보들은 이번 사건의 심각성을 감안할 때 유불리를 따질 일은 아니라고 말하지만, 내심 이번 사건이 의원들의 표심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촉각을 곤두세우는 분위기다. 형식적이고 우호적인 당청 관계를 이끌기보다 청와대를 비판하고 견제할 적임자가 누군지에 관심이 쏠린다. 이주영 의원 측은 조언하고 의견을 제시하는 원내대표 역할을 강조하고 있고 최경환 의원 측은 신뢰를 바탕으로 한 강력한 리더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관련, 여야 정치권이 이번 사건에 매몰되면서 민생과 정책 분야가 경시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박명호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3일 “정치권은, 특히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들은 유·불리를 떠나 국가 이익에 도움이 되는지 아닌지를 기준으로 이 사건을 봐야 한다”면서 “세세한 문제에 집착하는 모습은 좋지 않다”며 생활정치에 집중하라고 조언했다.
제1야당인 민주당이 당리당략만을 생각해 윤 전 대변인의 성추행 사건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하면 민심은 민주당을 외면할 수 있다고 진단됐다. 새누리당도 영향권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당초 여당이 청와대 인사 과정에서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것도 윤 전 대변인 사건의 근본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박 교수는 “앞으로 여당인 새누리당이 적어도 시중의 평판을 대통령에게 똑바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2013-05-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