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발하는 비주류 요구 수용
“비상대책위원장의 위상과 권한에 대해 의원총회의 추인을 받아야만 일을 할 수 있다.”
정의화 국회부의장
징검다리 연휴를 맞아 지역구가 있는 부산에 머물던 정 부의장은 8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비대위원장의 위상 ▲비대위와 비대위원장의 권한 ▲비대위원 인선에 대한 조정 등을 의총 추인 사항으로 제시했다. 소장파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 등 비주류 측의 요구를 일부분 수용한 셈이다.
정 부의장은 “비주류 등의 문제 제기가 있는 만큼 의총을 열어 추인을 받을 필요가 있다. 황우여 원내대표에게도 의총 소집을 요청했다.”면서 “안상수 대표는 의총 추인이 필요 없다고 하는 반면 황 원내대표는 추인을 요구했다. 9일 오전 황 원내대표와 만나 논의해 보겠다.”고 말했다. 당초 안 대표까지 포함해 3인 회동을 추진했지만, 황 원내대표가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 부의장은 또 당내 반발과 관련, “비대위의 역할 등 내용과 관련된 문제 제기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비대위 구성안 자체에 대한 반발은 아니라고 본다.”고 선을 그었다. 비주류 측이 비대위 역할과 함께 인선 자체까지 문제 삼는 것과는 다른 시각이어서 주목된다.
전날 최고위에서 의결된 비대위 구성안에는 당연직인 황 원내대표, 이주영 정책위의장과 함께 4선인 정 부의장, 3선의 김성조·김학송·원유철 의원, 재선의 박순자·차명진 의원, 초선의 김선동·김성식·신영수·윤진식 의원, 원외의 정용화 당협위원장 등 13명이 포함됐다. 정 부의장과 원유철·박순자·차명진·신영수·윤진식 의원·정용화 위원장 등 7명은 범친이계로, 김성조·김학송·김선동 의원은 친박(친박근혜)계, 황 원내대표와 이 정책위의장·김성식 의원은 중립 진영으로 분류된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1-05-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