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욱 오산시장의 포부

곽상욱 오산시장
경기 오산시를 교육도시에 이어 관광도시로 발전시키고 있는 곽상욱(사진) 시장의 각오다. 곽 시장으로부터 ‘관광도시 오산’에 주력하는 이유를 14일 들어 봤다.
-오산을 수도권 남부 최고의 관광도시로 만들 계획을 갖게 된 계기는.
“12년 동안 오산시장을 지내면서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은 항상 어려운 문제였다. 관광사업은 이 두 가지 모두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라 생각했다. 우리 오산에는 내삼미동 관광 3총사인 미니어처빌리지, 드라마세트장, 국민안전체험관뿐만 아니라 자연생태체험관, 반려동물테마파크, 오산천 등 대표 관광 명소가 많다. 도시의 활력과 신성장 동력을 개발하기 위해 그동안 역점을 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근차근 준비해 왔다.”
-오산시나 시민들에게 어떤 혜택으로 돌아올 것으로 기대하는지.
“우선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이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놀거리, 먹거리 문화 활성화에 도움도 줄 것이다. 일자리 부족 문제가 심각한데 자연생태체험관, 미니어처빌리지, 반려동물테마파크 등은 고용창출 효과가 크고 지방세 수입 증가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애정을 갖고 추진하는 사업이 있다면.
“오산 관광 르네상스를 가져올 자연생태체험관, 미니어처빌리지, 반려동물테마파크 등 3개 사업이다. 그중 자연생태체험관은 공공청사의 유휴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다. 시 예산이 투입되지 않는 민간 투자 방식으로 도심 속 생태체험 공간을 짓는 전국 첫 사례다.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찾을 수 있어 오색시장과 함께 도심 속 1일 관광코스로 각광받을 것이다.”
-어려운 점이 있다면.
“자연생태체험관을 추진하면서 일부 오해로 어려움이 많았다. 현재 서울을 비롯해 지방에서도 광장문화를 재조성해 각광받는 사례들이 늘고 있다. 서울역 고가도로 공원화 사업, 신촌·연세로 차 없는 거리 조성 등의 사례를 보면 보행 친화적 대중문화 공간으로 지역 상권 발전을 유도하고 있다. 전주역 첫 마중 길과 생태문화거리 명품 가로숲길은 지하공간을 하나로 통합해 도서관, 화랑, 콘서트, 전시회 등 문화 이벤트 공간으로 재조명받고 있다. 개장 전 여러 가지 우려들은 탄성으로 바뀌고 있다.”
2022-02-1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