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전 ‘상투’ 잡은 구매자 198만명, 하향세 지속땐 크게 늘 듯
전국에 A, B, C씨처럼 주택담보대출로 인해 이자에 허덕이는 사람들이 얼마나 될까.최근 발간된 하우스 푸어(김재영·더팩트)에 따르면 김광수경제연구소 선대인 부소장은 2006년 말~2007년 초 아파트가격이 최고점을 기록한 이후에 집을 산 대부분의 사람은 집값 하락으로 손해를 보고 있다고 가정하고 하우스 푸어의 규모를 계산했다.
1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2006년~2010년 3월까지 수도권 아파트의 거래량은 약 182만건, 전국 거래량은 약 407만건이다. 양도나 신탁 등의 경우를 제외하면 전체 거래량은 70%선으로 추산돼 실제 거래량은 각각 127만4000건, 284만9000건으로 추정된다.
수도권 아파트의 80%는 2006년 말을 기점으로 값이 떨어졌다고 보면 집을 샀을 때보다 자산가치가 하락한 수치는 수도권과 전국에서 각각 101만 9000건, 227만 9000건이다. 이 중에서 은행 대출 등으로 부채를 안고 집을 구매한 비중을 70% 정도라고 보면 각각 71만 3000건, 159만 5000건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이같은 거래량은 모두 기존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다. 따라서 2006년 이후 신규 분양된 아파트도 같은 방식으로 계산하면 수도권에 23만 7000가구, 전국에 38만 5000가구가 더 생긴다. 이를 합치면 수도권에서 95만가구, 전국에서는 198만가구가 집값 하락으로 인해 빚에 시달리는 하우스 푸어라는 것이다.
이 같은 어림치에는 단독이나 연립주택의 매매거래가 빠져 있다. 또 지방의 경우 2004~2005년에 이미 주택 가격 상승이 멈춘 지역이 많아 실제 하우스푸어의 규모는 더 많을 수 있다. 집값이 제자리인 경우도 하우스 푸어의 범주에 넣을 수 있다. 2006년 이후 누적 물가상승률 15%만큼 오르지 않은 경우도 포함된다. 이들은 기회비용 측면에서도 매년 예금금리 최고 4% 이상을 챙길 수 있었던 기회를 잃어버렸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지금처럼 거래가 없이 하향안정세가 지속되면 하우스 푸어의 규모는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만기 연장이 돌아오는 주택담보대출의 규모는 2012년이 되면 분기별로 25조원이 넘는다. 지난달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신호로 내년 상반기까지 금리가 최소 1%포인트 이상 오를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이 많다.
박창균 중앙대 교수는 “자산의 거래가 안 되면서 값이 떨어지기 시작하면 20~30%씩 무섭게 떨어진다. 유동성이 낮은 자산일수록 더 심각하다.”면서 “부채를 견디지 못해 집이 경매에 넘어가거나 파산하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8-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