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오피아 한국전쟁 참전용사들이 10일 60여년 만에 한국을 찾았다. 이들은 한국전 당시 강뉴대대 1진과 4진에 편성돼 강원 화천지역 전투와 요크고지 전투에서 혁혁한 전과를 올렸던 게르마우(79·당시 하사)를 포함한 참전용사 4명과 후손 등 모두 9명이다.
육군 제2작전사령부와 대구·경북 군선교연합회의 초청으로 방한한 이들은 이날 육군 2작전사령부에서 의장행사에 이어 부대를 돌아봤다.
또 군 관계자들과 한국전 당시 기억을 되새기면서 치열했던 전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참전에 대한 어떤 보상도 없이 어려운 생활을 했지만 이들은 귀국한 뒤 평화를 위해 싸웠다는 자부심으로 살아왔다며 자신들의 지난 인생을 육군 관계자들에게 전했다. 또 참전을 위해 입국했던 인천항과 전쟁을 치렀던 강원 지역을 방문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어 육군 제2작전사 장병과 군무원들이 조성한 장학금을 전달받았다. 이 장학금은 참전용사와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육군 제2작전사 간부와 병사, 군무원 등이 매달 기부하는 후원금인 ‘사랑나눔 기금’의 일부분이다.
제2작전사는 앞으로 매달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후손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해 경제적 자립은 물론 훌륭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전 당시 유엔 참전국의 일원으로 황실근위대 3518명을 파견해 전투를 벌였고, 253차례의 전투에서 모두 이겨 1명의 포로도 발생하지 않은 유일한 국가였다.
김요환 육군 제2작전사령관은 “60여년 전 생면부지의 나라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영웅들의 희생과 용기에 보답할 기회가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면서 “오늘의 작은 시작이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와 후손에게 미래를 위한 소중한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육군 제2작전사령부와 대구·경북 군선교연합회의 초청으로 방한한 이들은 이날 육군 2작전사령부에서 의장행사에 이어 부대를 돌아봤다.
또 군 관계자들과 한국전 당시 기억을 되새기면서 치열했던 전투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다.
참전에 대한 어떤 보상도 없이 어려운 생활을 했지만 이들은 귀국한 뒤 평화를 위해 싸웠다는 자부심으로 살아왔다며 자신들의 지난 인생을 육군 관계자들에게 전했다. 또 참전을 위해 입국했던 인천항과 전쟁을 치렀던 강원 지역을 방문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어 육군 제2작전사 장병과 군무원들이 조성한 장학금을 전달받았다. 이 장학금은 참전용사와 어려운 이웃을 돕기 위해 육군 제2작전사 간부와 병사, 군무원 등이 매달 기부하는 후원금인 ‘사랑나눔 기금’의 일부분이다.
제2작전사는 앞으로 매달 에티오피아 참전용사 후손들에게 장학금을 전달해 경제적 자립은 물론 훌륭하게 자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에티오피아는 한국전 당시 유엔 참전국의 일원으로 황실근위대 3518명을 파견해 전투를 벌였고, 253차례의 전투에서 모두 이겨 1명의 포로도 발생하지 않은 유일한 국가였다.
김요환 육군 제2작전사령관은 “60여년 전 생면부지의 나라에서 목숨을 걸고 싸운 영웅들의 희생과 용기에 보답할 기회가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면서 “오늘의 작은 시작이 에티오피아 참전용사와 후손에게 미래를 위한 소중한 기회가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13-06-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