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은, 살아가는… 아픔과 치유에 대하여

살아남은, 살아가는… 아픔과 치유에 대하여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3-10-20 01:09
수정 2023-10-20 01: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김초롱 지음/아몬드/327쪽/1만 8000원

‘10·29 참사’ 겪은 여성의 이야기
겨우 한 발짝 뒤에서 조우한 죽음
“나도 모르는 사이 진창 속에 살아”
이미지 확대
한 여성이 트라우마를 치료하기 위해 정신과 전문의를 찾았다. 지난해 10·29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구한 이다. 그는 상처 입은 영혼을 달래 줄 처치를 기대했지만 의사는 집에 쓰레기봉투는 몇 개냐, 양치는 얼마나 자주 하느냐는 둥 뚱딴지같은 질문만 해 댔다. 곰곰 따져 보니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고 있는 주민에게 도움을 주겠다던 구청의 상담센터에서도 비슷한 대접을 받았다. 그게 기분 나빠 구청을 뛰쳐나왔는데 전문 병원에서조차 이런 식으로 응대하다니, 여성은 부아가 치밀었다.

상담을 하는 둥 마는 둥 끝내고 집으로 돌아온 그는 깜짝 놀랐다. 집안이 쓰레기들로 엉망이었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니 언제 양치를 했는지, 언제 샤워를 했는지도 가물가물했다. 진창 같은 환경 속에서 살고 있던 스스로의 모습을 자신만 모르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을 때, 그의 심경은 얼마나 비참했을까.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는 겨우 한 발짝 뒤에서 죽음과 조우했던 한 평범한 여성이 쓴 글을 묶은 책이다. 겪지 않은 사람은 전혀 모를 고통과 치료의 과정들이 낱낱이 기록돼 있다. 저자가 늘 자문했던 것 중 하나는 “현장에는 있었지만 몸을 다치지 않았고, 가족이나 친구를 잃은 것도 아닌 자신이 ‘생존자’일 수 있느냐”는 것이었다. PTSD 상담사는 이렇게 답했다. “참사를 뉴스에서 보고 간접적으로 겪은 우리 모두가 생존자나 다름없으며, 그걸 가까이서 직접 겪은 당신이 더 힘든 건 당연하다”고. 그런 점에서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는 저자가 사회 전체에 던지는 질문이나 다름없다.

저자는 참사가 개인의 삶을 어떻게 무너뜨리는지 증언한다. 또 참사 이후 이어진 ‘놀러 가서 죽은 것’이라는 비난과 낙인찍기 등의 2차 가해에 사회가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질문을 던진다. 저자는 “돌아보니 나를 살린 것은 ‘연결감’이었다”며 “이 책을 계기로 삶의 무게 때문에 힘들어하는 사람과 연결되고 싶다”고 밝혔다.

2023-10-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