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 얼굴 없는 사냥꾼들의 민낯

자원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 얼굴 없는 사냥꾼들의 민낯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3-06-02 00:51
수정 2023-06-02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얼굴 없는 중개자들/하비에르 블라스·잭 파시 지음/김정혜 옮김/알키/604쪽/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아프리카 한 국가의 군 장성이 룩셈부르크의 다국적 은행 IBBC를 찾는다. IBBC 회장이 대선을 앞둔 그에게 거액의 자금 지원을 제안하자, 그는 IBBC가 얻는 건 뭐냐고 되묻는다. IBBC 회장은 싱긋 웃으며 “영향력 있는 친구”라고 답한다. 영화 ‘인터내셔널’의 한 장면이다. 물론 돈세탁, 무기 거래 등 온갖 추악한 범죄의 실질적 배후인 IBBC가 ‘대통령이 된 친구’를 단순한 ‘친구’ 수준에 머물도록 놔두지는 않는다. 현실은 동화가 아니니 말이다.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삼은 ‘인터내셔널’처럼 불법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공격적인 경영을 통해 막대한 이득을 취하는 ‘위험 사냥꾼’들이 현실 세계에도 있다. 이 사냥꾼들은 거의 모든 비즈니스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새책 ‘얼굴 없는 중개자들’은 이 가운데 석유와 밀 등 자원 시장을 쥐락펴락하는 원자재 중개자들의 실상을 파헤치고 있다. 원자재 중개 업체의 시조인 루트비히 제셀슨부터 세계 3대 원자재 중개 업체인 글렌코어, 비톨, 카길 등의 탄생까지, 원자재 중개 업계의 흐름을 13장에 걸쳐 소개한다.

카다피 40년 집권을 끝장낸 리비아 ‘아랍의 봄’의 막후 조정자였던 비톨, 알루미늄 확보를 위해 국제통화기금(IMF) 대신 1980년대 자메이카에 자금을 지원해 정권을 바꾼 마크리치앤드코, 푸틴 장기 집권의 숨은 공로자인 군보르에너지 등의 사례를 통해 그들이 누구와 어떻게 거래했는지, 그 거래가 미친 영향은 뭔지 알게 된다.

취급하는 자원이 다르고, 국적과 언어, 인종마저 다르지만 원자재 중개자엔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선악의 기준이 없다는 점이다. 오로지 이익만이 기준이다. 이들은 철저하게 ‘얼굴’을 지우고 중개에 임한다. 조세 회피처를 통한 거래, 독재국가와의 비밀 거래 등 ‘떳떳하지 않은’ 중개일수록 이익이 크기 때문이다. 이들은 대부분 개인회사다. 주식회사처럼 기업을 공개할 필요가 없다. 이들에 대한 정보가 취약한 건 이 때문이다.

2023-06-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