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길들이는 게 아니라 친구가 되는 거야[어린이 책]

반려동물, 길들이는 게 아니라 친구가 되는 거야[어린이 책]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2-11-03 20:20
수정 2022-11-04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까보 까보슈/다니엘 페나크 원작/그레고리 파나치오네 그림/윤정임 옮김/문학과지성사/128쪽/2만 5000원

이미지 확대
개 사육 공장에서 태어난 주인공 ‘개’는 단지 못생겼다는 이유로 태어나자마자 쓰레기처리장에 버려진다. 시컴댕이의 도움으로 간신히 죽음을 모면하고, 온갖 오물 속에서 세상을 배운다. 시컴댕이는 개에게 “되도록 빨리 여주인을 찾아내고 잘 길들이라”고 충고한다.

시컴댕이가 죽은 뒤 여주인을 만나고자 개는 도시로 떠나지만 이내 수용소에 갇히고, 거기서 꼬마 주인 ‘사과’를 만난다. 그런데 사과는 고집스러운 성격에다 길들이기 까다로운 아이였다.

개를 친근하게 부르는 프랑스어 ‘까보 까보슈’(Cabot-Caboche)를 제목으로 단 책은 다니엘 페나크가 1982년 첫 출간한 뒤 지금까지도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아동문학의 고전으로 꼽힌다. 개의 시선에서 바라본 이야기는 그저 흥밋거리에, 혹은 뻔한 교훈을 던지는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개가 사과를 길들이는 방식이라든가, 하이에누를 만나 인간과 친구가 되는 법 등을 배우는 장면 등은 읽는 내내 우리에게 묵직한 울림을 준다.
이미지 확대
개를 함부로 버리는 장면 등도 마찬가지다. 반려동물을 키운다는 일이 단지 우리의 즐거움이나 위안을 위해서가 아니라는 점, 그리고 개와 친구로 살아가려면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담겼다. 어린이들에게 ‘개는 이런 동물이야’라고 하기보다 만화책 한 편을 읽게 하는 게 훨씬 낫다.

탄탄한 이야기를 시나리오 작가이자 색채 화가인 그레고리 파나치오네가 익살스럽고 재치 넘치는 화풍의 그래픽 노블로 재구성했다. 읽는 내내 마음도 눈도 즐거워 책장 넘기기가 아까울 정도다. 아이들과 읽어 보길 추천한다.



2022-11-0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