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춤에 현대적 감각 입힌 ‘일무’ 뉴욕서 매력 뽐낸다

전통춤에 현대적 감각 입힌 ‘일무’ 뉴욕서 매력 뽐낸다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3-05-29 14:13
수정 2023-05-29 14: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일무’ 중 2막 ‘궁중무연구’ 장면. 세종문화회관 제공
‘일무’ 중 2막 ‘궁중무연구’ 장면. 세종문화회관 제공
색이 선명한 옷을 입은 무용수들이 요즘 군대보다 더 치밀하게 각을 맞춰 춤을 춘다. 소맷자락을 펄럭이며 동작은 선보이는 무용수들을 보노라면 바람의 움직임을 보는 것 같은 느낌도 든다.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이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종묘제례악의 의식 무용에 현대적 감각을 입힌 서울시무용단의 ‘일무’가 서울 공연을 마치고 미국 뉴욕으로 향할 채비를 마쳤다.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왕과 왕후의 신주를 모신 종묘에서 거행되는 제례의식에 활용하는 기악과 노래, 춤을 말한다. ‘일무’는 제례무를 일컬으며 하나로 열을 맞춰 춤을 추다는 뜻이다. 서울시무용단은 55명의 무용수로 대형군무를 펼쳐내며 그림 같은 무대를 꾸몄다.

지난해 5월 초연했던 작품을 보완해 완성도를 높였다. 기존 3막에서 4막으로 늘렸고, 2막에선 효명세자가 만든 ‘춘앵무’만 남기고 ‘가인전목단’을 삭제했다. 4막 ‘신일무’로 가는 길에 3막 ‘죽무’를 추가해 에너지를 폭발하는 전개로 구성했다. 대나무처럼 수직으로 여러 개 세워진 흰 장대 사이에서 남성 군무인 ‘죽무’가 펼쳐진 후 현대무용 같은 4막의 ‘신일무’가 작품을 완성한다.

정혜진 서울시무용단장은 “‘일무’는 제례무의 원형을 넘어 영원한 인류의 평화와 안녕을 염원하며 진심을 다해 우리 마음의 열을 맞추고자 하는 작품”이라고 전했다. ‘일무’는 전통무용의 형태로 균형감과 여백의 미를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입혀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김경 문화체육관광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4일 정책간담회를 개최한 후 주민소환제도가 도입 취지와 달리 사실상 유명무실하게 운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시민의 직접 민주주의 참여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2007년 도입된 주민소환제도는 선출직 공무원의 책임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8년간 전국적으로 투표까지 진행된 사례가 11건에 불과하며, 해임이 확정된 경우는 단 1건에 그쳤다”고 밝혔다. 특히 서울시는 2019년 은평구의회 의원 소환 청구 외에는 소환 투표로 이어진 사례가 전무하여 제도의 실효성이 매우 낮다고 강조했다. 주민소환제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는 복잡한 절차, 과도한 서명 요건, 부족한 정보 접근성, 그리고 불투명한 행정 처리가 꼽힌다. 청구서 제출부터 서명부 발급, 현장 서명 과정의 번거로움은 시민 참여를 저해하며, 개인정보가 포함된 서명부 지참이나 서식 작성 오류 시 서명 무효 처리 등은 불필요한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의 경우 유권자의 10%인 약 82만 5000명의 서명과 더불어 서울시 25개 구 중 9개 구 이상에서 각 구의 10% 이상을 확보해
thumbnail -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주민소환제도, 시민 직접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시급”

지난 25~28일 서울 공연을 마친 ‘일무’는 오는 7월 뉴욕 링컨센터로 간다. 링컨센터가 주최하는 여름 축제 ‘서머 포 더 시티’에서 열리는 한국 문화예술 특집 페스티벌 ‘코리안 아츠 위크’ 프로그램 중 하나로 참여해 서양에 한국 무용의 매력을 전할 예정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