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색 뽑아내는 활, 희로애락의 소리… 음악, 감정을 품다

원색 뽑아내는 활, 희로애락의 소리… 음악, 감정을 품다

허백윤 기자
허백윤 기자
입력 2021-04-08 22:59
수정 2021-04-09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이미지 확대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크레디아 제공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크레디아 제공
“‘지아가 표현하는 음악은 훨씬 깊은 마음에서 나오는 것 같다’는 말을 들은 게 좋았어요. 항상 감정에 충실해 음악을 느끼려 하고 이 느낌들을 더 많이 보여 드리고 싶거든요.”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의 연주는 매번 짙은 색을 낸다. 정작 자신은 스스로가 내는 색깔을 “전체적으로 따뜻한 느낌을 주는 갈색이면 좋겠다”고 하지만 그의 활은 한 작품 안에서도 여러 가지 원색을 뽑아낸다. “한 편의 드라마를 써 가듯 모든 경험을 음악에 담고 희로애락이 분명한 색채를 띠고 싶다”는 바람이 감정의 폭이 넓은 개성을 그려 간다.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만난 신지아는 “느껴 보고 경험할 수 있는 건 다 해 봐야 한다고 생각해 다양한 무대에 올랐다”며 “작품이 만들어진 당시의 역사를 공부하고 작곡가를 이해하는 것을 뛰어넘은 깊은 감정으로 음악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의 폭이 매우 넓은 성격도 음악에 영향을 준다고 했다.

지난해 12월 28일 정명훈 지휘로 원코리아오케스트라와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하며 인상 깊은 연주를 한 것에 대해서도 “어둡고 짙은 슬픔이 있는 2악장에서 북받치는 감정에 울음을 참느라 손가락만 겨우 움직였다”고 털어놓을 만큼 모든 음을 가슴에서 끌어올렸다.

솔리스트로는 물론 오케스트라 악장으로 호흡을 맞춰 보고 대형 콘서트홀부터 작은 살롱까지 무대를 가리지 않고 음악을 나누는 경험을 쌓는 것도 그에겐 마음을 다지는 일이다. “물론 이렇게 다양한 연주를 하려면 두 배, 세 배 더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며 여전히 바이올린과 치열한 시간을 보내고 있음도 내비쳤다.

신지아가 또 한 번 자신과 어울리는 화려하고 다채로운 무대를 꾸민다. 오는 14일 서울 송파구 롯데콘서트홀에서 크레디아 클래식 클럽 공연을 통해 디토오케스트라와 비발디(1678~1741)의 ‘사계’와 피아졸라(1921~1992)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사계’를 한 무대에서 펼쳐 낸다. 북반구(이탈리아)와 남반구(아르헨티나), 200년이 훌쩍 넘는 시간 차를 두고 이어진 너무나 다른 사계절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비발디 ‘사계’는 각 계절이 뚜렷하게 이어지면서 영적인 느낌을 준다면, 피아졸라는 악장 구분도 없이 흘러가며 열정 속에 쓸쓸함과 슬픈 감정을 주는 것 같다”고 그는 역시 마음으로 노래를 설명했다.

 “인생 후반부에 돌아봤을 때 ‘저런 무대들이 있었기에 내 음악이 만들어졌구나’라고 떠올릴 수 있길 바란다”는 신지아는 클래식이 흐르는 어디든 파고들고 싶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엔니오 모리코네 추모 콘서트에 참여할 만큼 영화에도 관심이 많다. “영화 안에 흐르는 좋은 현대음악들을 확 당겨 클래식을 더 가깝게 하고 싶다”는 목표는 언젠가 꼭 ‘제대로’ 이뤄 내고 싶은 것 중 하나다.

허백윤 기자 baikyoon@seoul.co.kr
2021-04-0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