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규 이달까지 개인전 ‘시적 정원’
“저는 작가이기에 앞서 ‘정원사’라고 생각해요. 한강 고수부지의 풀 한 포기에서도 이상향인 아마존 강 유역을 봅니다. 사람이 감히 훼손할 수 없는 숲이 가진 생명이지요.”
이용규(55) 삼성디자인학교(SADI) 교수는 새벽 산책에서 마주한 푸른 정원 이면의 모습을 아직 일반인에게는 낯선 ‘렌티큘러’ 방식으로 표현한다. 렌티큘러는 양쪽의 시각 차이에 따른 착시 효과의 원리를 이용해 평면적인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바꿔 주는 기법이다. 보는 각도에 따라 이미지가 변하며 국내에서 이를 활용하는 작가는 손에 꼽을 정도다. 하지만 작가는 “렌티큘러는 내 생각을 표현하는 하나의 도구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오는 31일까지 서울 중구 소공동 신세계백화점 본점 안의 신세계갤러리에서 열리는 개인전 ‘시적 정원’에는 작가가 그린 렌티큘러 작품 16점과 드로잉 30여점이 전시된다. “사물의 본질에 더 집중한다”는 작가는 새벽녘 정원을 걸으며 만난 풍경에 시적 상상을 동원해 작품으로 옮겼다. 1998년 미국에서 처음 접한 렌티큘러 기법을 직접 시도하기까지는 무려 6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이후 풍경을 연필로 묘사한 드로잉과 사진, 페인팅 등을 한데 모아 다층적이며 기하학적인 모습으로 풀어 왔다.
“수개월간 작품을 구상한 뒤 곧바로 드로잉을 하고 이를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해 관련 사진 등 이미지와 함께 섞어 프로그래밍합니다. 마지막 단계에서 작품을 출력하지요.”
작업 방식 못지않게 작가의 예술관은 독특하다. 그는 “새벽 산책에서 만나는 정원은 내게 무의식과 의식 사이에서 유희가 춤추는 미적 공간”이라고 말했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8-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