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순에 시작한 동양화, 예순 여덟에 꽃피우다

예순에 시작한 동양화, 예순 여덟에 꽃피우다

입력 2013-06-20 00:00
수정 2013-06-20 00: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창수 화백 네번째 개인전

“출발이 늦은 만큼 더 열심히 해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만들겠습니다.”

나이 예순에 늦깎이 화가로 변신한 안창수(68) 화백이 네 번째 개인전을 열어 화제다.

안창수 화백이 화선지에 수묵담채로 그린 자신의 운룡도 앞에 서 있다.
안창수 화백이 화선지에 수묵담채로 그린 자신의 운룡도 앞에 서 있다.
30년간 수출입은행에서 일하던 그는 민간기업 고문을 거쳐 퇴임한 뒤 고향인 경남 양산으로 내려가 처음 붓을 잡았다. 친구의 권유로 서예교실에 다녔고 우연히 동양화를 접했다. 이때부터 내면에 잠재된 미술에 대한 불씨가 되살아났다. 결국 나이 예순에 동양화로 유명한 중국 항저우의 미술대학으로 유학길에 올랐다.

비행기를 타면 두 시간 남짓 거리. 하지만 중국에서 공부하던 2년간 단 한 번도 한국 땅을 밟지 않았다. 안 화백은 “금융인과 작가 사이에는 간극이 클 것이란 선입견이 컸다”면서 “구내 식당에서 세 끼를 해결하고 좁은 기숙사에서 새우잠을 자며 그림을 배웠다”고 회상했다.

유학 중 현지의 크고 작은 서화대전에서 입상한 그는 다시 일본으로 눈을 돌렸다. 안 화백은 일본 도쿄의 조형예술대학에서 6개월간 공부한 뒤 귀국해 2009년 12월 생애 첫 개인전을 서울 인사동에서 열었다. 붓을 든 지 불과 5년 만의 일이다. 그 사이 일본 전국수묵화수작전에서 입선하는 등 화력도 쌓았다.

작가는 호랑이와 용, 닭을 그리던 데서 벗어나 요즘 남종 문인화의 전통을 기반으로 꽃그림에 감각적인 채색을 더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그는 “수묵화 자체로도 멋들어지지만 현대와 전통이 어우러지는 아름다움을 담고 싶다”면서 “중국,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에선 수묵화의 전통이 거의 단절돼 아쉽다”고 말했다. 안 화백의 개인전은 다음 달 6일까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중아갤러리에서 이어진다.

글 사진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06-2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