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희종릉 주변에서 향로·동물 석상 나왔다

고려 희종릉 주변에서 향로·동물 석상 나왔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9-06-03 17:36
수정 2019-06-04 02: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화도 석릉 동쪽 무덤서 출토

양·호랑이·사람 형상 돌 조각 확인
지진구 용도 도기 항아리 등 주목
이미지 확대
철제 향로 다리(왼쪽)·석양 문화재청 제공
철제 향로 다리(왼쪽)·석양
문화재청 제공
고려 제21대 왕 희종(재위 1204∼1211)의 무덤인 강화도 석릉(사적 제369호) 동쪽 무덤에서 당시의 상장례(喪葬禮)를 유추해 볼 수 있는 철제 향로 다리와 동물 석상이 발견됐다.

지난해부터 석릉 주변 고분군을 조사 중인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월 재개한 발굴조사를 통해 동물 모양의 철제 향로 다리와 도기 항아리, 돌을 양과 호랑이 형태로 조각한 석양과 석호, 피장자를 수호하는 상징물인 석인상 등의 유물을 출토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강화도 남부 진강산 동쪽 능선에 있는 석릉 동쪽 고분 9기를 대상으로 했다. 무덤은 돌덧널무덤(할석조 석곽묘)을 비롯해 판돌을 이용한 돌덧널무덤(판석조 석곽묘), 널무덤(토광묘) 등 다양한 축조 양식을 띠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묘역은 여러 단의 석축을 이용해 구획했고, 봉분의 뒤쪽 주변에 낮은 담인 곡장을 둘렀다.

특히 석릉 주변 고분군에서 발견된 동물 모양의 철제 향로 다리와 항아리 등을 주목할 만하다. 이 유물들에 대해 연구소 측은 “건물을 짓기 전에 땅의 기운을 진압하고 안전을 빌기 위해 봉안하는 물품인 지진구(地鎭具)로 보인다”며 “무덤을 쌓아 올릴 때 제의 용도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40호 돌덧널무덤 후면에서 양과 호랑이 모양의 석수(石獸·무덤 인근에 세운 동물 모양의 상)가, 인근 52호 돌덧널무덤에서 사람 모양의 석인상(돌로 조각한 사람의 형상)이 확인됐는데 연구소 측은 “고려 시대 묘역 구조를 밝힐 수 있는 기초 자료”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연구소는 지난해 무덤 118기가 존재한다고 알려진 석릉 주변 고분군을 조사해 무덤 6기의 축조 형태 및 방법을 확인하고 도기병과 작은 유병(油甁)을 비롯해 북송전(北宋錢) 등 중국 북송대 화폐를 수습한 바 있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9-06-0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