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분 만에 기절했다…30년 된 이 춤에
발표한 지 올해로 30년이 되지만 공연 때마다 관객들의 눈과 귀, 심지어 숨소리조차 꼼짝 못하게 한다. ‘6분 만에 관객을 기절시키는 작품’이라는 공연 포스터의 문구는 결코 과장이 아니다. 처음 1분은 섬세하게 잘 만들어진 남성 무용수의 근육 움직임에 눈이 커졌다가 연달아 터지는 스트로보라이트(섬광 조명)와 무용수의 절묘한 호흡에 벌어진 입이 다물어지지 않는다.
뉴벤처엔터테인먼트 제공
지난주 내한공연을 가졌던 미국의 파슨스 댄스 컴퍼니의 대표작 ‘코트’.
뉴벤처엔터테인먼트 제공
뉴벤처엔터테인먼트 제공
●조명 터질 때마다 공중에… “날고 있다”
미국 현대무용단 파슨스 댄스 컴퍼니가 대표작 ‘코트’(Caught)로 한국 관객을 사로잡았다. 지난해 5월 내한공연을 가진 지 1년 반 만에 지난 21일부터 나흘간 서울 강남구 역삼동 LG아트센터 무대에서 다시 한국관객들을 만났다. 같은 작품이지만 매번 다른 느낌과 감동을 주는 파슨스 댄스 컴퍼니의 무대는 벌써부터 다음 내한공연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한다.
어두운 무대에 상체를 드러낸 남성 무용수가 서 있다. 단조로운 기계음에 맞춰 무용수가 서서히 몸을 움직인다. 무용수는 위치를 달리한 네 개의 조명을 오가며 춤을 춘다. 남성 무용수의 섬세하면서 동시에 강인한 근육 움직임을 쫓던 조명이 갑자기 사라지고 무대는 암흑에 휩싸인다. 관객들이 숨돌릴 새도 없이 터지는 섬광 조명. 눈 한 번 깜빡하는 것조차 허락하지 않을 정도로 조명이 빠르게 터지고, 그때마다 무용수는 다른 동작을 취한다. 달려가는 듯한 동작으로 한 걸음씩 전진하고, 팔다리를 쭉 편 채로 뒤에서 앞으로 튀어나오는가 하면 무대 한가운데서 다리를 오므려 높이 뛰어오르는 모습으로 정면, 옆면, 뒷면을 보여주며 한 바퀴 돈다. 이게 뭐가 그리 대단하냐고? 이 모든 동작이 공중자세다. 번쩍번쩍 무대에 빛이 들어올 때마다 공중 동작을 하고 있으니, 관객의 눈에 무용수는 그저 ‘날고 있다’.
●지난주 1년 반 만에 내한 공연
1982년 첫선을 보인 이 작품에 관객들이 여전히 ‘기절’하니 초연 당시 반응이 어땠을지 짐작조차 하기 어렵다. ‘코트’의 인상이 워낙 강렬해 이어진 ‘리멤버 미’의 첫인상은 다소 밋밋하고 둔한 느낌이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이어지는 무용수의 힘차고 다이내믹한 안무는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는다.
2008년에 초연한 ‘리멤버 미’는 유명한 오페라 아리아와 무용의 결합을 시도했다. 이스트빌리지 오페라 컴퍼니의 두 남녀 가수가 무대에서 무용수들과 어우러지면서 세 남녀의 사랑이야기를 아름답게 끌어간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12-11-27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