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자위권 어깃장’ 日공명당간부 “연립이탈 할수도”

‘집단자위권 어깃장’ 日공명당간부 “연립이탈 할수도”

입력 2014-05-30 00:00
수정 2014-05-30 09: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소, 역대내각 집단자위권 불허 관련 “60년간 세뇌당한 것”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 방침을 둘러싼 연립여당(자민·공명당)의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공명당 핵심인사가 연립여당에서 이탈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공명당의 우루시바라 요시오(漆原良夫) 국회대책위원장은 29일 BS11 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집단 자위권과 관련한 자민·공명당 간 갈등에 대해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대표가 ‘연립이탈은 없다’고 말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고 일본 언론이 30일 보도했다.

아베 총리가 지난 15일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 구상을 공식화한 이후 공명당 핵심 인사가 연립 이탈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기는 처음이다.

우루시바라 위원장은 또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을 일본인의 생명 보호에 연결하는 아베 총리의 주장에 대해 “집단 자위권은 동맹국을 응원하는 것”이라며 “일본 국민을 보호하기 위함이라는 것은 조금 틀린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아베 총리가 29일 참의원 심의에서 집단 자위권 행사 용인을 위한 헌법해석 변경을 연말 미일 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 개정 전에 마무리하겠다는 뜻을 밝힌 데 대해 “국민의 이해를 충분히 얻을 때까지 심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은 29일 파벌 모임에서 행한 인사말을 통해 과거 내각이 집단 자위권 행사를 금지하는 헌법 해석을 유지해온 사실과 관련, “60년 동안 세뇌당하고 있다. 여러 의미에서 역방향으로 유도되고 있다”며 집단 자위권 행사를 용인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집단 자위권은 동맹국 등 밀접한 관계를 맺은 국가가 공격당했을 때 자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고 대신 반격하는 권리다. 아베 총리는 집단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헌법 해석을 변경하겠다는 구상을 지난 15일 기자회견에서 공식 표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