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롱 당선에 유럽 안도의 한숨
“자국 우선주의 저문다는 신호”…英조기총선·獨선거 가늠자될 듯
파리 EPA 연합뉴스
환호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선 후보 지지자들이 7일(현지시간) 파리의 유명 쇼핑몰 ‘카루젤 뒤 르부르’ 인근에서 마크롱의 승리 소식을 듣고 환호성을 지르고 있다.
파리 EPA 연합뉴스
파리 EPA 연합뉴스
뉴욕타임스는 8일(현지시간) “르펜의 패배는 영국이 EU에서 탈퇴하고 도널드 트럼프가 승리하게 한 요인인 극우 포퓰리즘이 유럽에서 저문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유럽의 극우 포퓰리즘은 지난해 6월 영국의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 가결을 계기로 무서운 확장세를 보였다. 대규모 난민 사태와 극단주의 테러로 인한 불안감, 경제위기에 따른 소득 양극화 등에 대한 반감이 극우 포퓰리즘 득세의 원인이었다.
특히 지난해 12월 이탈리아에서 마테오 렌치 당시 총리가 총리직을 걸고 실시한 정치개혁 국민투표에서 기성정치의 심판을 외치며 부결 운동에 나선 좌파 성향의 포퓰리즘 정당인 오성운동과 극우 북부리그가 존재감을 나타내 불안감을 가중시켰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오스트리아 대통령 선거에서 국수주의 반이민 성향의 자유당 노르베르트 호퍼가 패배하고 올 3월에는 네덜란드 총선에서 제1당이 될지 모른다는 예상까지 나오던 극우 자유당이 1당에 오르지 못하고 중도 보수 자유민주당이 1당을 유지해 EU에 안도감을 줬다. 오스트리아와 네덜란드에서 극우 포퓰리즘이 세를 얻지 못하면서 르펜의 집권 가능성도 점차 낮아졌다.
이런 상황에서 EU의 창립 멤버이기도 한 프랑스에서 EU 통합을 강조하는 리더가 탄생하면서 서구의 ‘자국 우선주의’ 도미노 현상은 멈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프랑스는 독일과 함께 유럽석탄철강공동체(ECSC), 유럽경제공동체(EEC) 등 유럽 통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기구를 이끌어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더 의미가 깊다. 실제로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은 마크롱에게 승리 축하 서한을 보내 “강하고 진보적 유럽이 필요하다는 당신의 생각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극우 포퓰리즘이 세를 완전히 잃었다고 판단하기는 아직 이르다. 다음달 치러지는 영국의 조기 총선과 오는 9월 치러지는 독일의 연방의회 선거 결과를 봐야 한다. 영국 총선은 브렉시트 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보수당 정권에 대한 재신임 투표로 볼 수 있다. 브렉시트가 포퓰리트스의 거짓 선동으로 가결됐다며 탈퇴 결정을 후회하는 여론도 만만치 않다.
마크롱 역시 지난 4월 EU 통합에 찬성하면서도 “EU가 개혁하지 않으면 프렉시트(Frexit·프랑스의 EU 탈퇴) 가능성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었다. EU 통합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는 좀더 지켜봐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그가 승리 연설에서 “프랑스와 유럽을 방어하겠다”고 강조해 유로화 가치는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유로화는 이날 전 거래일인 지난주 금요일보다 0.3% 뛴 유로당 1.1달러에 거래됐다. 지난해 11월 이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7-05-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