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11일 한·미 양국이 사드 배치를 결정한 데 대해 “중국의 전략적 안전을 엄중하게 훼손하는 것으로 중국은 이에 대해 분명히 상응하는 조치를 취해 스스로의 안전 이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재차 밝혔다.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 ‘중국은 한국에 어떤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냐’는 질문에 사드 배치는 “한반도의 평화안정에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반도 핵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전 이익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국은 이에 대해 단호하게 반대하고 미국과 한국에 방침 변경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루 대변인은 이어 ‘사드 배치에 대한 한국 내 반대 여론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한국은 미국의 사드 배치에 동의함으로써 사실상 스스로 이 지역의 전략적 균형이 파괴되는 비상 국면에 휘말려 들어갈 것”이라며 “한국 민중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리스크를 깊이 우려하는 것을 우리는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루 대변인은 이날 ‘북·중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북·중 조약) 체결 55주년을 맞아 중국과 북한이 축전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그는 ‘양측 지도자 사이에서도 축전 교환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축전 교환이 다양한 레벨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관례로 볼 때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사이의 축전 교환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양측 고위급 인사의 상호방문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루캉(陸慷)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사드 배치와 관련, ‘중국은 한국에 어떤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이냐’는 질문에 사드 배치는 “한반도의 평화안정에 도움이 안 될 뿐 아니라 반도 핵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안 된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 “사드 배치는 중국의 전략적 안전 이익에 심각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중국은 이에 대해 단호하게 반대하고 미국과 한국에 방침 변경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루 대변인은 이어 ‘사드 배치에 대한 한국 내 반대 여론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한국은 미국의 사드 배치에 동의함으로써 사실상 스스로 이 지역의 전략적 균형이 파괴되는 비상 국면에 휘말려 들어갈 것”이라며 “한국 민중이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 리스크를 깊이 우려하는 것을 우리는 완전히 이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루 대변인은 이날 ‘북·중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조약’(북·중 조약) 체결 55주년을 맞아 중국과 북한이 축전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그는 ‘양측 지도자 사이에서도 축전 교환이 있었느냐’는 질문에는 “축전 교환이 다양한 레벨에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관례로 볼 때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 사이의 축전 교환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양측 고위급 인사의 상호방문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이창구 특파원 window2@seoul.co.kr
2016-07-1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