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런던이 중국 위안화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위안화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중국이 역외 위안화 거래·투자 중심지로 런던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英 방문 맞춰 9050억원 해외 국채 발행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중국은 지난달 런던에서 해외 첫 단기채 발행에 이어 위안화 표시 국채도 런던에서 발행할 예정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 블룸버그통신이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국 인민은행이 1년 만기 50억 위안(약 9050억원) 규모 국채 발행을 계획할 예정이며, 구체적인 내용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오는 19일부터 23일까지 영국을 국빈 방문하는 기간에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영국 정부 관계자는 “런던이 유럽의 다른 국가와 미국의 금융센터를 누르고 선택됐다”면서 “이는 중국 당국이 런던이 역외 위안화 거래와 투자센터가 되기에 가장 적합한 지역이라고 판단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지니 옌 스탠다드차타드 은행 런던지점 이코노미스트는 “런던의 위안화 표시 국채 발행은 자금 조달 측면보다 인민은행이 처음으로 홍콩 외 지역에서 발행하는 역외 위안화 국채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했다.
●역외 위안화 거래·투자 센터도 낙점
이에 따라 영국은 현재 추진 중인 힌클리포인트 원자력발전소 건설과 북부지역 고속철도 건설 등 대형 인프라시설 건설에 중국 자금을 투자받을 가능성이 높아졌다. 위안화를 글로벌 기축통화로 발돋움하려는 중국의 야심과 중국의 투자자금을 끌어들이려는 영국의 계획이 제대로 맞아떨어진 셈이다.
런던의 위안화 허브로의 부상은 이미 예견돼 왔다. 지난해 영국 정부가 서방 국가 중 처음으로 30억 위안 규모의 위안화 표시 국채를 발행했고, 중국 국책은행인 중국국가개발은행이 지난달 런던에서 20억 위안 규모의 위안화 채권을 발행한 바 있다. 국가개발은행은 현재 추가적인 채권 발행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5-10-1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