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래 원주민들은 이곳을 신성시해 오르지 않는다. 그들은 오랫동안 관광객들이 이 산에 오르지 못하게 하자고 목소리를 높여왔다. 관광객 일부가 쓰레기를 투기하고 근처에서 불법 야영하는 문제들을 야기했기 때문이다. 2017년 울루루 카타 튜타 국립공원은 만장일치로 등반을 금지하기로 결의했는데 오는 10월에야 정식 발효된다.
그런데 과거에 에이어스 록이라고 불렸던 이 붉은 빛 거대한 바위 덩어리 등반을 금지한다고 공표하자 오히려 관광객들이 더 몰려들고 있다.
이번주 이곳의 등반 정체 사진을 찍은 글렌 미넷은 근처에 허용된 캠핑장은 “폭발 직전”이었으며 트럭 정류장에서 불법 야영하는 관광객들도 봤다고 개탄했다. 화장실은 한 곳뿐이었고 그마저 물을 내릴 수 없었다.

울루루를 신성시해 오르지 않는 호주 원주민 아낭구 사람들이 개미떼처럼 줄지은 등반 인파를 지켜보며 앉아 있다.
그 산을 오르는 일은 그 땅에 깃대어 살아가는 아낭구 사람들의 희망을 짓밟는 짓이라고 비판하는 글들이 잇따르고 있다. 살리 러그는 트위터에 “호주전쟁기념관에 사람들이 올라가기 시작한다면 상상이 되나요”라고 되물었다.
등반을 시작하는 들머리에는 존중의 표시로 산을 오르는 일을 자제해달라는 경고 문구가 붙여져 있다. 아낭구 사람이자 이곳 국립공원 이사회 의장인 새미 윌슨은 2017년 만장일치 결의와 관련해 “아주 중요한 장소다. 놀이터나 디즈니랜드 같은 테마파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호주국립공원은 지난해 이곳을 찾은 사람이 전년에 견줘 7만명 이상 늘었다고 밝혔지만 최근 몇달 동안의 통계는 아직 나온 게 없다고 영국 BBC는 11일(현지시간) 전했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