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미국인이 해외 테러단체에 억류되더라도 몸값을 내지 않는다는 정책을 고수할 방침이라고 1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알리스테어 바스키 대변인은 이날 이메일로 배포한 성명에서 “테러단체에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해외에 있는 모든 미국인을 납치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과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일부 미국 언론은 수니파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의 잇따른 미국인 인질 참수 사건 이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인질 구출과 관련한 기존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미국 정부가 유럽 등 외국 정부처럼 자국인 인질 석방을 위해 테러단체에 몸값을 지불하는 정책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제기되기도 했다.
미국 정부는 테러리스트에게 붙잡힌 인질을 몸값을 주고 빼내는 것을 법률로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IS가 살해한 일부 미국인 인질의 가족은 몸값 흥정에 나섰다가 정부 당국자의 경고를 받았고, 이 사실이 공개돼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백악관 관리들은 이날 인질 구출과 관련한 기존 정책을 재검토하는 것과 인질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바마 대통령도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인 인질을 석방하기 위해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미국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미국인 3명을 참수한 IS는 난민 구호활동가인 26세의 미국인 여성을 인질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미국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알리스테어 바스키 대변인은 이날 이메일로 배포한 성명에서 “테러단체에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해외에 있는 모든 미국인을 납치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과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일부 미국 언론은 수니파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의 잇따른 미국인 인질 참수 사건 이후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인질 구출과 관련한 기존 정책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미국 정부가 유럽 등 외국 정부처럼 자국인 인질 석방을 위해 테러단체에 몸값을 지불하는 정책을 도입하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제기되기도 했다.
미국 정부는 테러리스트에게 붙잡힌 인질을 몸값을 주고 빼내는 것을 법률로 금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IS가 살해한 일부 미국인 인질의 가족은 몸값 흥정에 나섰다가 정부 당국자의 경고를 받았고, 이 사실이 공개돼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백악관 관리들은 이날 인질 구출과 관련한 기존 정책을 재검토하는 것과 인질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상관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오바마 대통령도 전임자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인 인질을 석방하기 위해 몸값을 지불하는 것은 미국 전체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미국인 3명을 참수한 IS는 난민 구호활동가인 26세의 미국인 여성을 인질로 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