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여행서 타는 ‘우버 택시’…“절대로 ‘이 제안’ 받지 마세요”

해외 여행서 타는 ‘우버 택시’…“절대로 ‘이 제안’ 받지 마세요”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4-25 08:00
수정 2025-04-25 08: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택시를 기다리는 여성 손님 이미지.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픽사베이
택시를 기다리는 여성 손님 이미지.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픽사베이


우버와 같은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시 운전기사가 건네는 간식이나 음료는 거부하는 것이 좋다는 경고가 나왔다. 밀봉된 생수병이나 간식이라도 신변에 위협이 될 수 있어 정중히 거절하는 것이 안전하다는 조언이다.

뉴욕포스트는 최근 범죄심리학과 심리학을 전공한 틱톡 사용자 다나 이브가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시 주의사항에 대해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다나는 차량 번호판 확인과 운전기사가 승객 이름을 말하게 하는 기본적인 안전 수칙 외에도 더욱 신경써야 할 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녀는 “운전기사들이 물병이나 간식을 건네는 것은 대부분 친절에서 비롯되지만, 불순한 의도를 품은 소수의 운전기사도 존재한다”며 “안타깝게도 너무 많은 끔찍한 사례들을 접해왔다. 생수병과 간식이 밀봉돼 있더라도 위험을 감수할 이유는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정중하게 거절하고 절대 아무것도 먹지 말라”며 “불행히도 세상엔 악의를 품은 사람들이 있으니, 타인의 감정보다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량 공유 서비스 이용 중 주변을 경계하라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

그녀는 “휴대폰을 보지 말고, 고개를 들어 주변 상황과 이동 방향을 인지하라”며 “방심한 사람은 쉬운 표적이 된다”고 했다.

만약의 상황을 대비하라는 제안도 내놨다.

다나는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우버나 리프트에 머리카락이나 지문과 같은 물리적 증거를 남기라”고 말했다. 이런 행동이 좀 지나친 것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특히 여성들에게는 안전을 위한 중요한 예방 조치가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대해 한 댓글 작성자는 “우버 운전기사가 5점과 좋은 평가를 남길 때까지 차 문을 잠가 나를 가둔 적이 있다”고 썼다. 또 다른 사람은 “납치를 당해서 들판으로 끌려간적이 있지만 대화를 하면서 어떻게든 빠져나왔다”고 주장했다.

다른 댓글 작성자들도 생존 팁을 공유했다.

“차에 탄 후 다시 문을 열어보라. 제대로 닫히지 않은 척하면서 어린이 안전 잠금장치가 없는지 확인하라”는 지침과 “차에 탈 때 누군가와 통화 중인 척하며 ‘지금 우버에 타고 있어, 내 위치 보내줄게, 사랑해 잘 있어’라고 말하라”는 방법도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