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그린 ‘귀걸이 소녀’…“예술에 대한 모욕” vs “창조적 작품”

AI가 그린 ‘귀걸이 소녀’…“예술에 대한 모욕” vs “창조적 작품”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03-11 17:11
수정 2023-03-11 17: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한 관람객이 9일 네덜란드 헤이그의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에서  인공지능이 그린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모작을 촬영하고 있다.  2023.03.11 AFP연합뉴스
한 관람객이 9일 네덜란드 헤이그의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에서 인공지능이 그린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 모작을 촬영하고 있다. 2023.03.11 AFP연합뉴스
터번으로 머리칼을 감싼 여성이 고개를 살짝 틀어 왼쪽 어깨 너머를 바라보고 있다. 여성의 귀에는 LED 전구처럼 빛을 내는 커다란 귀걸이가 달려 있다.

요하네스 페르메이르의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를 떠올리게 하는 이 모작은 사람이 직접 그린 것이 아닌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완성했다. 이 작품이 네덜란드의 유명 미술관에 전시되면서 AI의 그림도 예술인지를 두고 미술계에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10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지난달 10일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에서는 네덜란드의 거장 요하네스 페르메이르(1632~1675) 전시가 열렸다.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페르메이르 작품 37점 가운데 28점이 200년 만에 한자리에 모였다.

네덜란드 헤이그의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도 이번 전시에 참여했다. 미술관 측은 페르메이르의 대표작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를 대여하는 동안 작품의 빈자리를 대체할 모작을 공모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이에 독일 베를린에서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는 율리안 판디컨은 AI로 작업한 그림 ‘빛나는 귀고리를 한 소녀’를 출품했다. 그는 인터넷에 올라와있는 관련 이미지 수백만장을 토대로 이미지 생성 AI ‘미드저니’에 자신이 생각한 프롬프트(명령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완성했다.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포토샵도 사용됐다.

네덜란드 예술계는 발칵 뒤집혔다. AI의 작품이 예술에 속하는지, 미술관에 다른 유서 깊은 명작들과 함께 걸릴 자격이 있는지 등을 두고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다.

작가인 이리스 콤핏은 현지 매체 인터뷰에서 “페르메이르의 유산은 물론 활동 중인 예술가들에 대한 모욕”이라며 “미술관에서 나오면서 뺨을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 들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특히 그는 “AI 도구가 다른 작가들의 저작권을 침해한다”며 “그림 자체도 프랑켄슈타인 같은 느낌”이라고 비판했다.

다만 마우리츠호이스 미술관 공보담당 보리스 더뮈닉은 “예술이 무엇인지, 예술이 아닌 것이 무엇인지는 매우 어려운 질문”이라면서 “작품을 선정한 이들은 AI가 창작한 것임을 알고도 마음에 들어 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판디컨의 출품작에 대해 “가까이서 보면 주근깨가 약간 으스스해 보이긴 한다”면서도 “우리는 이것이 멋진 그림이며, 창조적인 과정이었다는 의견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