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북한이 핵 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중단 및 핵실험장 폐쇄를 발표한 뒤 그해 6월 27일 영변의 핵시설 냉각탑을 폭파하는 모습. [서울신문 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지난 2008년 북한이 핵 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중단 및 핵실험장 폐쇄를 발표한 뒤 그해 6월 27일 영변의 핵시설 냉각탑을 폭파하는 모습. [서울신문 DB]
한대성 주제네바 북한 대표부 대사는 15일(현지시간) 유엔 군축회의 발언에서 “북한(DPRK)은 포괄적 핵실험 금지와 관련해 국제적 바람과 노력에 동참하겠다”고 언급했다. 북한이 국제 사회에서 포괄적 핵실험 금지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한 대사의 발언을 두고 유엔 안팎에서는 다음 달 12일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 가입을 카드로 제시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CTBT는 평화적 목적을 포함해 모든 형태의 핵실험을 금지하는 조약이지만 북한은 가입하지 않았다.
라시나 제르보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기구(CTBTO) 사무총장은 지난달 말 2020 핵확산금지조약(NPT) 평가회의 사전준비회의 연설에서 북한의 CTBT 가입, 비준이야말로 명백하고 불가역적인 핵포기 조치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166개국이 비준한 CTBT는 아직 발효되지는 않았다.
핵 보유·핵 개발 가능 국가 44개국이 비준해야 발효되는데 미국, 중국, 이란, 이스라엘, 이집트 등 5개국이 비준하지 않았고 북한, 인도, 파키스탄 3개국은 서명도 하지 않은 상황이다. 북한이 CTBT에 가입한다면 다른 나라들에도 가입, 비준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이날 군축회의에서 로버트 우드 미국 군축담당 대사는 북한의 핵, 미사일 실험 중단 발표를 환영한다며 북미정상회담이 역사적인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우드 대사는 또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함께 평화와 번영을 누릴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