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더스 “힐러리가 차기대통령 돼야” 공식 지지 선언

샌더스 “힐러리가 차기대통령 돼야” 공식 지지 선언

입력 2016-07-13 07:08
수정 2016-07-13 07: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웃사이더 돌풍’의 주역인 미국 민주당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이 12일(현지시간) 경선 라이벌이자 사실상의 대선후보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에 대한 공식 지지를 선언했다.

정치혁명을 이루겠다며 지난해 4월말 민주당 소속으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지 441일 만이다.

샌더스 의원은 이날 오전 뉴햄프셔 주(州) 포츠머스에서 클린턴 전 장관과 처음으로 공동 유세를 하면서 “클린턴 전 장관이 민주당 경선에서 승리했다”며 “승리를 축하한다”며 지지를 선언했다.

또 “그녀가 민주당 대선 후보가 될 것이며, 나는 그녀가 미국의 차기 대통령이 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선거는 미국인의 요청들과 우리가 직면한 매우 중대한 위기의 해법과 관련돼 있으며, 11월 대선으로 향하면서 그것을 할 수 있는 최고의 후보가 클린턴 전 장관이라는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지난달 6일 대의원 ‘매직넘버’에 도달한데 이어 같은달 14일 워싱턴DC 프라이머리를 마지막으로 사실상의 대선후보가 됐으나 7월 전당대회까지의 완주를 고수한 샌더스 의원의 지지를 끌어내지 못해 애를 먹었다.

하지만 그가 당 대선후보를 공식 선출하는 필라델피아 전당대회를 12일 앞두고 이처럼 클린턴 전 장관의 지지를 선언함에 따라 민주당과 지지층은 그녀를 중심으로 급속히 뭉칠 전망이다.

다만 기성 워싱턴 정치에 실망하고 분노한 나머지 사회주의자를 자처한 아웃사이더인 샌더스 의원을 지지했던 젊은 유권자층이 이날 지지 선언을 계기로 곧바로 ‘힐러리 지지’로 돌아설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국무장관 시절 개인 이메일 서버로 공문서를 주고받은 ‘이메일 스캔들’에서 불거진 불신과 특권적 이미지, 친(親)부자 이미지 등으로 인해 그녀가 역대급 ‘비호감’ 후보로 자리매김된 탓이다.

샌더스 의원의 지지연설에 이어 클린턴 전 장관은 “이제 우리가 한편이 됐기 때문에 이번 선거가 훨씬 더 즐거울 것을 기대한다”며 “우리는 도널드 트럼프를 무찔러 11월 대선에서 승리하고, 우리 모두가 믿을 수 있는 미래를 건설하기 위해 힘을 합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샌더스 의원은 국민이 방관자의 입장을 벗어나 정치과정에 참여하도록 했다”며 “그는 우리나라를 깊이 걱정하는 젊은세대에 힘과 영감을 불어넣었다. 지지에 감사한다. 그러나 그보다 더욱, 평생에 걸친 불의와의 싸움에 감사한다”고 고마움을 표시했다.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고 441일간의 대권 도전 무대에서 이날 퇴장한 74세의 노정객 샌더스 의원의 도전은 ‘절반의 성공’으로 평가된다.

워싱턴 기성정치에 대한 민심의 실망과 분노를 바탕으로 ‘정치혁명’과 소득불평등 타파 등을 내걸고 경선 레이스 내내 클린턴 전 장관을 몰아세웠던 샌더스 의원은 결국 ‘주류 정치’의 높은 벽에 막혀 패자가 됐다.

하지만 민주당 정강과 클린턴 전 장관의 대선 공약에 최저임금 15달러로의 인상을 비롯한 건강보험 개혁과 대학 무상교육 등 자신의 진보정책을 관철함으로써 절반의 승리를 거둔 것이다.

한편 샌더스 의원의 이날 지지 선언에 대해 공화당의 사실상의 대선후보인 도널드 트럼프는 성명을 내 “샌더스가 클린턴 전 장관을 지지함으로써 ‘조작된 시스템’의 일부가 됐다”고 비난했다.

또 트위터에서 “지렛대를 완전히 잃은 샌더스가 신념을 저버리고 ‘사기꾼’ 힐러리 클린턴한테로 갔다”며 “샌더스가 오늘 그녀를 지지한다고 하는데 지지자들이 화가 많이 나 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