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 직원들이 앞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이메일 기능 등을 사용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페이스북이 MS와 소프트웨어 사용 계약을 맺었다고 12일 보도했다.
페이스북의 직원 1만 3000여명은 앞으로 MS 오피스의 웹 버전인 오피스 365를 업무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메일과 일정관리를 포함한 일부 기능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을 뒀다.
페이스북은 기업용 소셜 네트워크인 야머, 영상회의와 메시지 서비스인 스카이프 등은 자사가 개발한 ‘페이스북 앳 워크’와 경쟁 관계에 있다는 이유로 차단했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페이스북 앳 워크를 도입해 직원들의 소통과 협업 수단으로 삼고 있다. 이는 페이스북의 직장 버전으로, 평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회사 내에서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오피스365를 사용키로 계약한 것은 이메일에도 나름의 역할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팀 캄포스 페이스북 CIO(최고정보책임자)는 “페이스북 앳 워크가 있다고 해도 이메일의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MS의 ‘델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오피스365를 채택한 또 다른 이유라고 그는 덧붙였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 법인판촉 담당 부사장인 커크 코닉스바워도 “이메일은 죽지 않았다”면서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WSJ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슬랙 테크놀로지스를 비롯한 다수의 기업이 페이스북 앳 워크와 유사한 소프트웨어를 선보이면서 법인 고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업 및 메시징 기술의 동향을 연구하는 래디카티 그룹에 따르면 올해 말에 가면 이메일 발송 건수는 하루 2153억 건에 이르고 2020년까지 연간 5%씩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리서치 회사인 가트너 그룹의 매트 케인 애널리스트는 MS의 웹 기반 이메일 및 일정관리 소프트웨어에 대항하는 최대의 경쟁자는 구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페이스북과 구글의 경쟁이 치열한 관계를 감안한다면 페이스북이 구글의 G메일과 일정관리 서비스를 사용할 가능성은 애초부터 없었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페이스북이 MS와 소프트웨어 사용 계약을 맺었다고 12일 보도했다.
페이스북의 직원 1만 3000여명은 앞으로 MS 오피스의 웹 버전인 오피스 365를 업무용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메일과 일정관리를 포함한 일부 기능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을 뒀다.
페이스북은 기업용 소셜 네트워크인 야머, 영상회의와 메시지 서비스인 스카이프 등은 자사가 개발한 ‘페이스북 앳 워크’와 경쟁 관계에 있다는 이유로 차단했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페이스북 앳 워크를 도입해 직원들의 소통과 협업 수단으로 삼고 있다. 이는 페이스북의 직장 버전으로, 평소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회사 내에서 소통하고,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페이스북은 오피스365를 사용키로 계약한 것은 이메일에도 나름의 역할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팀 캄포스 페이스북 CIO(최고정보책임자)는 “페이스북 앳 워크가 있다고 해도 이메일의 필요성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MS의 ‘델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오피스365를 채택한 또 다른 이유라고 그는 덧붙였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오피스 법인판촉 담당 부사장인 커크 코닉스바워도 “이메일은 죽지 않았다”면서 계속 진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WSJ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슬랙 테크놀로지스를 비롯한 다수의 기업이 페이스북 앳 워크와 유사한 소프트웨어를 선보이면서 법인 고객들을 끌어들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협업 및 메시징 기술의 동향을 연구하는 래디카티 그룹에 따르면 올해 말에 가면 이메일 발송 건수는 하루 2153억 건에 이르고 2020년까지 연간 5%씩 늘어날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리서치 회사인 가트너 그룹의 매트 케인 애널리스트는 MS의 웹 기반 이메일 및 일정관리 소프트웨어에 대항하는 최대의 경쟁자는 구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페이스북과 구글의 경쟁이 치열한 관계를 감안한다면 페이스북이 구글의 G메일과 일정관리 서비스를 사용할 가능성은 애초부터 없었다고 덧붙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