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킹 목사의 동지와 “흑인표 공략” 본격화

힐러리, 킹 목사의 동지와 “흑인표 공략” 본격화

입력 2015-10-31 01:39
수정 2015-10-31 01: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민불복종 운동’ 이끈 존 루이스 의원이 힐러리 지지단체 발족

미국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이 ‘흑인 표심’ 공략을 본격화한다.

흑인 표심은 미 대선의 향방을 좌우하는 최대 변수의 하나다. 2008년과 2012년 대선에서 흑인 표의 95%를 싹쓸이해 연임에 성공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사례가 이를 웅변한다.

클린턴 전 장관이 30일(현지시간) 경선 초반 주요 경합주의 하나로 꼽히는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를 찾는다고 캠프 측이 밝혔다.

자신의 지지단체인 ‘아프리칸 아메리칸스 포 힐러리’(African Americans for Hillary) 출범식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내년 2월27일 예비선거가 열리는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는 흑인 유권자가 많은 지역으로 꼽힌다.

이 단체는 마틴 루서 킹 목사와 함께 1960년대 시민불복종 운동을 전개했던 유명 흑인 운동가 출신인 존 루이스(조지아) 하원의원이 이끈다.

루이스 의원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 의회의 살아있는 양심”으로 칭송했던 인물이다.

정파를 넘어 존경받는 인사다. 클린턴 전 장관의 입장에서 그가 이끄는 지지단체의 발족은 천군만마를 얻은 격이라고 미 언론은 평가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이날 출범식을 전후해 흑인 성직자들을 만나고 최대 흑인 인권단체인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AACP)의 연회에도 참석해, 인종차별 논란이 제기되곤 하는 사법제도 개혁을 주제로 연설한다.

또 앨시 헤이스팅스(플로리다) 하원의원과 그레고리 믹스(뉴욕) 하원의원 등 측근 흑인 의원들을 조만간 보내 이 지역에서 지지확산을 꾀한다는 복안이다.

찰스턴은 지난 6월 21세의 백인 우월주의자 청년의 충격적인 교회 권총 난사로 흑인 9명이 숨졌던 곳이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이 교회를 찾아 추모연설 도중 ‘어메이징 그레이스’를 부르며 인종 갈등과 반목을 넘어선 화합을 강조함으로써 일약 인종문제와 관련한 상징적 장소로 떠올랐다.

특히 클린턴 전 장관은 2008년 경선 당시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에서 오바마 후보에게 패배해, 이에 남편인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오바마가 인종주의를 선거판에 끌어들였다”고 공세를 취하면서 논란이 빚어지는 등 아픈 기억이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앞서 클린턴 전 장관은 금주 초 의회 내 흑인 의원들의 모임인 ‘블랙 코커스’ 회원들과 전화회의를 하는 등 흑인 표심 획득에 시동을 걸었다. 이미 흑인 시장 50여 명으로부터 지지를 확보했다.

또 NBC-월스트리트저널의 이달 여론조사에 따르면 클린턴 전 장관은 경쟁자인 버니 샌더스(버몬트) 상원의원에 비해 흑인들의 지지가 54%포인트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헤이스팅스 의원은 ‘더 힐’에 “내가 주민들한테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힐러리가 어디에 있나?’라는 질문”이라며 “클린턴 전 장관이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민들과의 만남을 더욱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은 지난 14일 효문고등학교에서 마을버스 운행과 관련한 학부모 간담회를 주선해 지역 교통 개선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효문고 교장, 효문중 교장, 교감, 도봉구청 관계자, 지역운수업체 및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 학부모 등 약 20명이 참석해 학생들의 수요가 많은 마을버스의 증차, 노선변경 및 신설 등에 대해 건의했다. 학부모들은 “인근지역 주택공급 및 개발로 효문고, 효문중, 쌍문초는 물론 덕성여대까지 교통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배차간격이 길고, 무엇보다 쌍문역 같은 지역수요가 많은 교통요지와의 접근성에 문제가 많다”라며 “학생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에게도 숙원사업”이라고 적극 건의했다. 학교 측에서도 “학교 위치가 너무 외져서 기간제교사를 채용할 시 지원율이 상당히 낮고, 특히 초임교사들에게도 교통상의 문제로 출퇴근에 어려움이 있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홍 의원은 “학생복지뿐만 아니라 교통복지 차원에서 학교의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환경 개선은 단순히 시설 확충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통학할 수 있는 교통 인프라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학생·지역주민 교통복지 개선 위한 마을버스 확충 매우 시급”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