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사회 표정
이란 핵협상 타결 소식이 전해진 14일 국제 사회는 “역사적 순간”이라며 반겼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이른 시간인 이날 오전 7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국 외교가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자평했다. 반면 이란과 앙숙인 이스라엘은 “역사적 실수”라고 반발했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성명을 통해 “대화의 힘을 증명한 역사적 합의”라며 “이번에 타결된 핵협상이 중동 지역 내 이해와 협조를 증진시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격앙된 표정으로 저주를 퍼부었다. 네타냐후 총리는 “이란이 핵무기로 향하는 길을 인정받은 합의”라고 협상을 평가절하한 뒤 “이란은 수천억 달러 현금을 얻을 수 있는 잭팟을 터뜨렸고 이란의 핵무기 취득을 막아 오던 많은 제재가 해제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핵협상 타결 전날 네타냐후 총리는 내각회의에서 1994년 북핵 제네바 합의 직후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이 연설하는 동영상을 상영했다. 그때 클린턴 전 대통령은 “제네바 합의로 북한이 평화로운 핵기술을 보유하게 되고 한국 등은 북핵 위협에서 보호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지만 이후 북한은 핵개발을 계속 추진했고 2003년 핵확산금지조약(NPT)에서도 탈퇴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한 조치다.
실제 핵협상을 반대한 진영에서는 제네바 합의 실패를 유력한 반대 근거로 제시해 왔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5-07-1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