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피를 수혈해 치매 치료를 시도하는 실험이 미국에서 시행된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25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뉴 사이언티스 보도를 인용, 미국 스탠퍼드 대학 의과대학의 토니 위스-코레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30세 이전의 건강한 지원자들이 기증한 혈장(혈액에서 백혈구, 적혈구 등 혈구세포를 제거한 액체)을 경증(mild) 내지는 중등도(moderate) 치매 환자에게 주입하는 실험을 오는 10월초에 시작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수혈 직후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혈 직전과 수혈 며칠 후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그 후 몇 달 동안 가족 또는 보호자를 통해 증세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라고 위스-코레이 박사는 밝혔다. 그는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지만 단 하루가 좋아지더라도 이 방법이 추구할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혈장에 들어있는 단백질인 성장분화인자11(GDF11: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1)가 치매환자의 뇌기능을 다시 활성화시켜줄 것으로 믿고 있다.
실제로 쥐에 인간의 GDF11을 주입한 결과 그러한 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인간과 쥐는 나이를 먹으면서 GDF11 생산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것이 뇌 건강과 장기기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젊은 피가 노화된 신체기관을 젊게 만들 것이라는 생각은 60여년전 미국 코넬 대학의 클라이브 매케이 박사가 젊은 쥐와 늙은 쥐의 순환시스템을 서로 연결시킨 결과 늙은 쥐의 연골이 젊어진 것으로 밝혀지면서 시작됐다.
그로부터 이와 비슷한 쥐실험이 계속됐다. 그 과정에서 젊은 쥐의 피가 늙은 쥐의 간(肝)과 골격 줄기세포를 젊게 만들고 심장기능 저하를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12년에는 혈장에 들어있는 GDF11 단백질이 늙은 쥐의 심장비대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는 연구결과가 하버드 대학의 에이미 워거새트 박사에 의해 발표됐다.
심장이 두꺼워지는 증상인 심장비대 늙은 쥐에 젊은 쥐의 혈장에서 채취한 GDF11 단백질을 30일 동안 주입했더니 젊은 쥐의 혈액을 주입했을 때와 똑같이 비대한 심장의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늙은 쥐의 심장비대를 회복시킨 것은 혈액 속의 GDF11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뒤이어 GDF11 단백질은 늙은 쥐의 뇌 혈관 수와 줄기세포를 증가시키고 뇌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잇따라 밝혀졌다.
연합뉴스
이 신문은 뉴 사이언티스 보도를 인용, 미국 스탠퍼드 대학 의과대학의 토니 위스-코레이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이 30세 이전의 건강한 지원자들이 기증한 혈장(혈액에서 백혈구, 적혈구 등 혈구세포를 제거한 액체)을 경증(mild) 내지는 중등도(moderate) 치매 환자에게 주입하는 실험을 오는 10월초에 시작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수혈 직후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혈 직전과 수혈 며칠 후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그 후 몇 달 동안 가족 또는 보호자를 통해 증세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게 될 것이라고 위스-코레이 박사는 밝혔다. 그는 ”효과는 일시적일 수 있지만 단 하루가 좋아지더라도 이 방법이 추구할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그는 강조했다.
그는 혈장에 들어있는 단백질인 성장분화인자11(GDF11: growth differentiation factor 11)가 치매환자의 뇌기능을 다시 활성화시켜줄 것으로 믿고 있다.
실제로 쥐에 인간의 GDF11을 주입한 결과 그러한 효과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인간과 쥐는 나이를 먹으면서 GDF11 생산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것이 뇌 건강과 장기기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젊은 피가 노화된 신체기관을 젊게 만들 것이라는 생각은 60여년전 미국 코넬 대학의 클라이브 매케이 박사가 젊은 쥐와 늙은 쥐의 순환시스템을 서로 연결시킨 결과 늙은 쥐의 연골이 젊어진 것으로 밝혀지면서 시작됐다.
그로부터 이와 비슷한 쥐실험이 계속됐다. 그 과정에서 젊은 쥐의 피가 늙은 쥐의 간(肝)과 골격 줄기세포를 젊게 만들고 심장기능 저하를 되돌릴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2012년에는 혈장에 들어있는 GDF11 단백질이 늙은 쥐의 심장비대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 같다는 연구결과가 하버드 대학의 에이미 워거새트 박사에 의해 발표됐다.
심장이 두꺼워지는 증상인 심장비대 늙은 쥐에 젊은 쥐의 혈장에서 채취한 GDF11 단백질을 30일 동안 주입했더니 젊은 쥐의 혈액을 주입했을 때와 똑같이 비대한 심장의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이는 늙은 쥐의 심장비대를 회복시킨 것은 혈액 속의 GDF11이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뒤이어 GDF11 단백질은 늙은 쥐의 뇌 혈관 수와 줄기세포를 증가시키고 뇌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도 잇따라 밝혀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