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 정부 ‘인도주의적 조치’로 허용…비용 부담
알제리로 도피했던 무아마르 카다피 전 리비아 국가원수의 부인과 가족들이 지난해 10월 오만으로 망명한 것으로 확인됐다.2011년 8월 알제리로 망명한 카다피의 아내 사피야 파르카쉬, 딸 아이샤, 아들 모하메드와 한니발 등이 오만 정부의 망명 허가를 받아 지난해 10월부터 오만에서 살고 있다고 중동 현지 일간지인 걸프뉴스가 26일 보도했다.
카다피 가족은 이를 위해 오만을 정치나 언론 활동의 거점으로 사용하지 않겠다고 서약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들의 이주는 리비아, 알제리, 오만 3개국 정부의 공조 아래 이뤄졌으며, 오만 정부가 이들의 생활비를 부담한다.
오만 정부는 또 이들의 여행 편의를 위해 외교관 여권을 발급했다고 현지 일간지는 전했다.
이 같은 사실을 공개하지 않은 것과 관련, 익명을 요구한 오만 외무부 관계자는 “인도주의적 동기에 의한 조치를 떠벌리고 싶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모하메드 압델아지즈 리비아 외무장관은 전날 카타르 도하에서 만난 기자들에게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하고 리비아 당국이 이들의 송환을 요청할지 논의하는 것은 너무 이르다며 망명을 허용한 오만 정부의 권리를 옹호했다고 AP 통신이 전했다.
카다피의 두 번째 부인인 사피야와 장남 모하메드 등은 2011년 8월 반군이 수도 트리폴리를 함락하자 알제리로 망명했다.
카다피의 다른 아들 사디는 니제르에서 망명 중이며 후계자로 유력했던 차남 사이프 알 이슬람은 지난해 11월 체포돼 재판을 기다리고 있다.
다른 아들 무타심은 카다피와 함께 2011년 10월 반군에 사살됐고, 사이프 알 아랍, 막내아들 카미스 등 나머지 아들들은 각각 다른 전투에서 사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