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의회 차원서 애플 ‘바가지 상혼’ 추궁

호주, 의회 차원서 애플 ‘바가지 상혼’ 추궁

입력 2013-02-12 00:00
수정 2013-02-12 09: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호주가 연방의회 차원에서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어도비 등 세계적 정보기술(IT) 기업들의 호주 내 ‘바가지 상혼’에 대한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12일 호주 언론에 따르면 호주 연방하원 인프라·통신위원회는 다음달 22일 애플과 MS, 어도비 관계자들을 의회에 출석시켜 청문회를 개최할 방침이다.

호주 의회의 이 같은 움직임은 소비자단체 등을 중심으로 이들 IT 기업이 호주 소비자들을 상대로 부당한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의혹이 지속적으로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가령 호주의 음악애호가가 애플의 아이튠즈를 통해 음악을 다운로드 받으려면 2.19달러를 지불해야 하지만 미국에서는 이 가격이 1.31달러에 불과하다.

또 인기있는 애플의 16GB 아이패드의 미국 내 판매가격은 640달러지만 호주에서는 679달러에 팔리고 있다.

13인치 애플 맥북 프로 노트북 역시 미국(1천220달러)보다 호주(1천349달러)가 100달러 이상 비싸다.

MS 제품도 이와 비슷한 양상이다. MS의 대표 상품 중 하나인 윈도우즈 비스타 얼티미트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호주 내 판매 가격은 751달러지만 같은 제품을 미국에서는 436달러면 살 수 있다.

인기 게임인 ‘콜 오브 듀티 : 모던 워페어 2’의 호주 내 판매가는 89.99달러로 미국 내 판매가 20.34달러보다 무려 4배 이상 비싸다.

청문회를 주도한 에드 휴직 노동당 의원은 “애플이나 MS같은 IT 기업들은 왜 호주 내 판매가가 이렇게 비싸야 하는지에 대해 소비자들에게 설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전병주 서울시의원, 2025년도 제1회 추경으로 광진구 학교 90억원 및 지역 발전 44억원 확보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병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광진1)은 2025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광진구 교육환경 개선과 지역 인프라 확충을 위해 교육청 예산 90억원, 광진구 지역투자 예산 44억원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전 의원은 “용곡초, 용곡중, 대원고 등 관내 학교의 시설 노후화 해소와 안전성 강화를 위해 예산을 투입했다”며, 특히 용곡초 본관동·서관동과 용곡중 교사·교육정보관·청솔관의 드라이비트 해소 사업에 29억원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용곡중 급식실 전면 개선에 3억 9000만원, 학생식당 신설에 1억 8000만원, 대원고 급식실 환기 개선에 3억 3000만원을 반영했다. 이에 전 의원은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꼭 필요한 예산만 반영한 만큼 교육 환경이 실질적으로 개선될 것”이라며 “진정한 교육은 안전한 공간에서 출발한다는 관점에서 예산 확보에 집중했다”고 강조했다.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투자사업 예산 44억원도 확보됐다. 특히 도시 안전과 교통 분야의 생활밀착형 사업이 중점 반영됐다. ▲군자역 역사 환경 개선에 1억원 ▲구의동, 자양동, 중곡동 일대 시도 보도 유지관리 사업에 3억원 ▲중곡1~4동 일대의 하수관로 정비에는
thumbnail - 전병주 서울시의원, 2025년도 제1회 추경으로 광진구 학교 90억원 및 지역 발전 44억원 확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