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위, 항의로 점철된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시위, 항의로 점철된 홍콩 주권반환 15주년

입력 2012-07-01 00:00
수정 2012-07-01 15: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일은 홍콩의 주권이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지 15년째가 되는 날이지만 이날 홍콩은 즐거운 축제 분위기라기보다는 시위와 항의로 점철됐다.

5년만에 홍콩을 찾은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 주석은 홍콩의 통치 정책인 ‘일국양제’(一國兩制·한 나라 두 체제) 원칙을 확인하며 ‘관용’과 ‘단합’을 강조했다. 그러나 후 주석의 홍콩 방문 중 후 주석에게 ‘시끄럽게 질문을 했다’는 이유로 취재 기자가 끌려나가는 일이 발생하는 등 홍콩의 ‘중국화’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됐다.

홍콩 일간지 빈과일보의 혼 이유-팅(韓耀庭) 기자는 지난달 30일 홍콩 카이탁 크루즈 터미널을 둘러보던 후 주석에게 “후 주석, 홍콩인들은 6.4(톈안먼 민주화 운동) 사건의 재평가를 원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습니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혼 기자는 경찰 통제선 뒤에서 소리쳐 질문했다.

혼 기자는 질문 직후 경찰에 끌려나갔으며 15분간 격리됐다가 후 주석이 터미널을 떠난 후에야 풀려났다. 경찰은 혼 기자에게 ‘너무 시끄럽게 질문을 해 소란을 일으켰기 때문’이라고 격리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나 경찰은 홍콩의 경제 발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을 똑같이 소리쳐 던진 기자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기자협회와 학계, 범민주계 정치인들은 이번 일을 언론 자유에 대한 공격으로 규정하면서 홍콩 경찰이 중국의 공안처럼 되어가고 있다고 비난했다.

막 인-팅(麥燕庭) 홍콩기자협회 회장은 “기자들은 내용과 분량에 상관없이 묻고 싶은 것은 무엇이든 물어볼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기자협회는 항의의 의미로 1일 예정된 거리 행진에 기자들의 참여를 촉구했다.

홍콩 언론계 대표와 편집장 등으로 구성된 ‘신문행정인원협회’와 홍콩 5개 대학의 언론 관련 학자들도 역시 경찰의 행동을 비난하면서 이번 일에 대한 조사를 촉구했다.

홍콩의 의회 격인 입법회의 보안사무위원회 주석(위원장)인 제임스 토 의원 역시 “해당 기자는 아무런 법도 어기지 않았다”면서 경찰이 권한을 남용했다고 비판했다.

시위대와 경찰의 충돌도 이어졌다. 경찰은 지난달 30일 주권반환기념 축하공연이 열린 홍콩 전시컨벤션센터와 후 주석의 숙소 인근에 2m 높이의 차단벽을 세워 시위대를 차단했다.

물을 가득 채운 차단벽 속에 갇힌 시위대들은 후 주석의 숙소 호텔 밖에서 확성기를 통해 ‘6.4(톈안먼 민주화 운동) 사건을 재평가하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시위를 벌였다. 시위대가 차단벽을 무너뜨리려 하는 과정에서 경찰은 최소 세 차례 이상 시위대에 최루액을 발사했으며 2명이 체포됐다 풀려났다.

주권반환 15주년 기념식과 신임 행정장관 취임식이 거행된 1일에도 시위가 계속됐다. 이날 오전 취임식과 기념식이 진행되는 동안 시위대들은 행사장 인근에서 렁춘잉(梁振英) 신임 행정장관의 초상화를 불태우며 “공산당과 끝까지 싸울 것”이라는 등의 구호를 외쳤으며 인근 골든바우히니아 광장에서는 국기 게양식이 거행되는 동안 수백명이 모여 “톈안먼 사건을 잊지 않을 것”이라고 소리쳤다.

홍콩 시민단체들은 시위대에 대한 경찰의 대응과 빈과일보 기자 사건 등과 맞물려 1일 오후 예정된 거리 행진의 규모가 커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