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국민차 쏘나타/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씨줄날줄] 국민차 쏘나타/이동구 수석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21-03-10 20:18
수정 2021-03-11 03: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일의 유명 자동차 회사 ‘폭스바겐’(Volkswagen)은 ‘국민차’라는 의미다. 이 회사의 대표 브랜드인 딱정벌레 모양의 소형차 ‘비틀’(Beetle)은 2019년 7월 멕시코에서 5961만번째를 마지막으로 생산이 중단될 때까지 무려 82년간 독일인뿐 아니라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았다. 회사의 이름대로 국민의 차 역할을 넘어 단일 모델로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생산된 명실상부한 세계인의 차로 기억되고 있다.

비틀은 히틀러가 나치의 명망을 높이려고 미국의 국민 대중차이자 컨베이어 시스템에 의한 대량생산의 상징이었던 포드사의 ‘모델T’처럼 독일 국민 누구나 자동차를 소유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도로 출시된 차량이다. 독특한 외관과 혁신적인 디자인으로 비틀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으며 독일 경제부흥과 중산층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비틀의 출생 배경만큼 이탈리아 피아트(FIAT)사의 경차 ‘500C’도 주목할 만하다. “자동차는 부자의 전유물이 돼서는 안 된다”는 창업주의 뜻에 따라 탄생됐다고 한다. 1957년 첫 생산 이후 500만대 이상이 팔리는 등 오랫동안 이탈리아의 국민차로 사랑받고 있다. 1970년 단종됐다가 2007년 7월 50년 만에 부활한 것도 부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앙증맞고 친밀한 외관과 실용성 등으로 여전히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이제는 유럽인들의 국민차로 통용될 정도라고 한다.

‘국민차’의 사전적 의미는 국민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부담 없이 구입할 수 있는 가격대의 경승용차를 말한다. 대개 800㏄ 이하가 이에 해당된다. 독일의 비틀이나 이탈리아의 500C뿐만 아니라 일본에서도 닛산의 경차 ‘큐브’가 국민차로 꼽히는 이유다. 물론 가장 많이 팔렸거나 판매되고 있다는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민차는 현대자동차의 중형 세단인 쏘나타다. 1985년 출시된 이후 지금까지 살아남은 국내 승용차 모델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한다. 우리 정부가 공식적으로 승인한 첫 경차는 대우자동차가 1991년 생산한 ‘티코’였지만, 쏘나타는 이 당시 벌써 국민차의 수준으로 자리매김했다.

쏘나타는 그러나 36년을 지켜 온 국민차의 지위를 잃을지도 모르겠다. 쏘나타 생산 공장의 가동이 일시 중단됐다. 판매부진 때문이다. 코로나19로 생활 패턴이 달라지면서 차량 선택의 기준도 달라지고 있다. 특히 여가생활이 중요시되면서 전기차,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의 인기가 급상승하는 추세다. 외제차 선호도도 높다. 생활 패턴 변화가 어떤 차를 새 국민차로 선택할지 궁금해진다.

yidonggu@seoul.co.kr
2021-03-11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