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두장옌과 소양강댐/박홍환 논설위원

[씨줄날줄] 두장옌과 소양강댐/박홍환 논설위원

박홍환 기자
입력 2015-06-17 23:22
수정 2015-06-17 23:2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국 서부 쓰촨(四川)성의 성도인 청두(成都) 주변은 청두평원, 또는 촨시(川西)평원으로 불린다. 총면적 2만 3000㎢에 이르는 대평원으로 끝없이 논과 밭이 펼쳐져 있어 중국 서부지역 최대의 양곡기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예로부터 이곳 사람들은 기근(飢饉)이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살았다고 한다. 홍수와 가뭄이 없어 흉년을 경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곳을 물산이 풍부한 천부지국(天府之國)으로 부르는 이유다.

그러나 사실은 하늘이 내려준 땅이 아니었다. 수천년 전 선조들의 지혜와 땀으로 옥토가 만들어진 것이다. 일종의 댐, 제방 역할을 하는 두장옌(都江堰)으로 가뭄과 홍수를 효과적으로 제압해 온갖 산물이 풍성한 땅으로 바뀌었다. 역사는 2271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전국시대 진(秦)나라 소왕(昭王) 때 촉(蜀) 지방의 태수로 부임한 이빙(李?)은 청두평원에 큰 영향을 미치는 민(岷)강의 관개시설에 관심이 많았고, 마침내 기원전 256년부터 5년여간 두장옌을 건설했다.

원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강의 중심에 물고기의 주둥이를 닮은 대형 둑을 쌓아 물줄기를 두 가닥으로 분리함으로써 홍수와 가뭄을 동시에 대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대형 둑의 좌우는 내강과 외강으로 나뉜다. 홍수 때는 본류인 외강 쪽으로 강물의 60% 이상을 흐르도록 하고, 가물 때는 내강 쪽으로 60% 이상을 흘려보내 거미망 같은 3만여개의 관개수로를 따라 청두평원의 농지에 물을 공급해주는 방식이다. 두장옌의 물을 공급받는 지역은 현재 30여개 현과 시, 6600㎢에 이른다. 이쯤 되니 현지인들이 이빙을 치수(治水)의 신으로 추앙하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사상 최악의 가뭄에 소양강댐 수몰 지역의 성황당 나무가 38년 만에 모습을 드러냈다고 한다. 소양강댐 수위는 1973년 준공 이후 역대 최저치에 근접한 상태다. 물이 부족해 인천 강화를 필두로 전국 곳곳의 농지가 거북등처럼 갈라지고, 농심은 타들어가고 있다. 한 바가지의 물이라도 더 긷기 위해 이미 마를 대로 말라버린 저수지 바닥을 포크레인으로 긁어내는 모습이 안쓰럽기만 하다.

수천년 동안 마르지 않은 두장옌과 40여년 동안 몇 차례나 바닥을 드러낸 소양강댐을 보면서 물을 대하는 차이를 엿보게 된다. 소양강댐도 처음엔 홍수와 가뭄 대처, 전력생산 등 다목적댐이라는 점을 내세웠다. 홍수를 막는 데는 톡톡한 역할도 했다. 하지만 가뭄에는 속수무책이다. 사실 전국이 바짝 말라가고 있지만 한강을 비롯한 4대강은 여전히 도도하게 흐르고 있다. 소양강댐 이남 청평댐, 팔당댐 등은 물이 가득 차 있다. 농부들로서는 ‘그림 속의 물’일 뿐이다. 예로부터 치수는 제왕들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 무엇이 제대로 된 치수인지 이번 가뭄을 통해 확실히 알게 된다. 청두평원의 연평균 강수량은 1300㎜로 우리나라와 엇비슷하다.

박홍환 논설위원 stinger@seoul.co.kr
2015-06-1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