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외동아이 교육/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외동아이 교육/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3-07-26 00:06
수정 2023-07-26 00: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얼마 전 동네 식당에서 외식을 할 때의 일이다. 옆 테이블에서 부모와 함께 온 대여섯 살쯤 돼 보이는 아이가 큰 소리로 장난을 치자 주위의 눈총을 의식한 듯 엄마가 아이에게 “좀 조용히 하라”고 주의를 줬다. 한데 아빠인 듯한 남성이 대뜸 “여기가 도서관이야?”라며 외려 부인을 타박한다. 아이는 아빠의 ‘지원사격’에 힘을 얻은 듯 더 큰 소리로 장난을 쳤고, 식당 주인은 분란이라도 일어날까 모른 체하는 눈치였다.

요즘 학교에서 선생님에게 욕을 하거나 폭행을 하는 사건이 속출하면서 ‘교권 보호’가 사회 이슈가 됐다. 교권 침해를 막기 위한 법제 손질 움직임까지 일고 있다. 사회 분위기가 아동학대 방지나 권리 찾기에 편중되면서 아이 인성교육과 사회성 키우기엔 소홀했던 게 사실이다. 특히 외동아이가 많아지다 보니 부모의 과잉 보호가 버릇없는 아이 양산에 한몫하는 듯하다. 하지만 아이의 작은 소란 방치가 욕설과 폭행, 범죄로까지 커질 수 있음을 부모들이 마음에 새기면 싶다.
2023-07-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