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당구장/이동구 논설위원

[길섶에서] 당구장/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기자
입력 2019-11-06 22:24
수정 2019-11-07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백 머리를 한 중년의 남자는 담배를 입에 물고 긴 막대기 끝에 무엇인가를 문지르면서 녹색 테이블을 뚫어져라 바라보며 서 있었다. 잠시 후 큰 결심을 한 듯 몸을 구부려 반짝이는 흰색과 붉은색의 당구공을 테이블 이쪽저쪽으로 몰고 다녔다. 방에 누워 있을 때도 천장에는 그 남자의 당구공이 아른거렸다. 처음 목격한 당구장의 분위기와 그 남자의 멋있는 모습은 지금도 선명하다.

사회 초년병 시절 당구장은 음악다방과 함께 만남의 공간이었다. 딱히 즐길 거리도 마땅치 않았던 터라 당구장은 해방구 역할도 했었다. 담배도 피울 수 있었고, 음료와 간단한 음식도 먹을 수 있었다. “짜장면은 왜 그리 맛이 좋았는지. 집 기둥뿌리 한두개쯤은 당구장에 바쳤다”는 말에 당시 대부분의 친구가 공감했다.

다시는 찾지 않을 것 같았던 당구장에 요즘 가끔씩 들른다. 은퇴한 선배들이나 옛 친구들을 만나면 술자리 다음으로 편한 곳이다. 저렴한 비용으로 시간을 메울 수 있는 데다 게임 맛이 여전하다. 한창때와는 사뭇 다르지만 자세는 제법 봐 줄 만하다. 기억 속의 올백 머리 중년 남자보다 훨씬 더 나이 들어 당구를 즐기는 모습을 요즘의 젊은이들은 어떤 눈으로 바라볼지 궁금하다.

yidonggu@seoul.co.kr

2019-11-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