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무선 이어폰 공해/이종락 논설위원

[길섶에서] 무선 이어폰 공해/이종락 논설위원

이종락 기자
입력 2019-09-04 20:50
수정 2019-09-05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대부분의 직장인은 출근 버스나 지하철에서 단꿈을 꾼다. 전날 밤 마신 술이 덜 깨거나 직장에서 누적된 피로를 해소할 요량으로 버스나 지하철을 타자마자 눈을 감는다. 짧게는 10~20분, 길게는 1시간 동안 단잠을 자고 일어나면 그날의 활력을 되찾는 기분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단잠을 방해하는 훼방꾼이 나타났다. 선이 없는 무선 이어폰이다. 기다란 선은 물론 목걸이형 넥밴드 등 추가 기기가 없는 무선 이어폰은 패션 아이템으로까지 부상했다. 문제는 이런 무선 이어폰을 사용하는 이용자들의 예절이다. 전화가 걸려오면 입을 최대한 막고 통화를 하거나, “지금 차량 안이니 내려서 통화하겠다”고 말하며 전화를 끊는 게 예의일 것이다. 하지만 이용자들은 남들의 시선을 아랑곳하지 않고 들리는 음량대로 대화를 이어 간다. 차량 내에서뿐만 아니라 길거리를 지나갈 때도 큰 소리로 대화하느라 보행자들을 깜짝 놀라게 한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의 최근 발표에 따르면 올 2분기 무선 이어폰의 세계시장 규모는 2700만대로 올 1분기(1750만대)에 비해 54% 성장했고, 연말에는 1억대를 돌파할 것으로 내다봤다. 최첨단 기기 개발로 세상은 편해졌지만 그만큼 사람들의 의식 수준이나 예절이 못 따라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2019-09-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