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탑정 저수지/최용규 논설위원

[길섶에서] 탑정 저수지/최용규 논설위원

입력 2011-12-14 00:00
수정 2011-12-14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탑정 저수지만큼 조사(釣士)들의 사랑을 받는 낚시터도 드물 것 같다. 예당 저수지가 낚시꾼 사관학교라면 탑정호는 강태공의 천국이다. 물낚시철이 시작되면 전국의 조사들이 토종 월척을 꿈꾸며 이곳으로 몰려든다. 비교적 사람 손이 덜 탄 치마바위. 마을 어귀에서 산을 타고 한참을 들어가야 만날 수 있는 명포인트다. 수심이 족히 10m는 되는 이곳에서는 해질 무렵 굵은 씨알의 토종붕어가 쑥쑥 올라왔다. 여름철엔 비닐 지붕을 치고 한달 이상 ‘장박’(長泊)하는 꾼도 더러 있었다. 탑정호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곳이다.

개발은 치마바위의 낭만을 앗아갔다. 이젠 누구나 쉽게 앉을 수 있는 자리가 됐지만 별이 쏟아지고 풀벌레 소리 가득하던 호젓함은 사라졌다. 자동차 굉음과 라이트에 그 많던 토종붕어도 정든 서식지를 버렸다. 주말, 지인들과의 탑정호 만남은 어떤 추억의 색깔일까. 내년 경제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탑정 저수지가 우울한 초짜 조사들로 넘쳐나지 않을까 걱정된다. 강태공은 ‘IMF 외환위기’때 확 늘었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1-12-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