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를 ‘군’과 ‘양’으로 호칭하는 건 이들이 아직 ‘어리다’는 표시다. 실제 그렇지 않더라도 형식적으로는 어른이 아니라는 표지를 붙이고 있는 것이다. ‘결혼을 해야 어른’이라는 이전 시대의 의식과 가치관이 녹아 있다. 결혼식을 마친 신랑과 신부는 이제 언제 어디서든 ‘군’과 ‘양’으로 불리지 않는다. 공식적인 자리에서 이들의 성명 뒤에는 똑같이 ‘씨’나 ‘님’ 혹은 직함이 붙는다. 공인된 ‘어른’이 된 이들은 이렇게 성별에 따른 차이도 사라진 호칭으로 불린다.
이름 뒤에 붙는 ‘군’은 격식을 갖춘 말이었다. 그러면서도 친근함을 나타냈다. “김군, 어디 가나?”, “철수군 이리 와 보게”라고 하는 사람은 주로 남성이었다. ‘김군’의 손윗사람이거나 ‘철수군’과 친구 관계여야 했다. 이렇게 불린 ‘군’은 미성년자라는 걸 뜻했고, 대접하는 말이라지만 위계를 나타내기도 했다.
호칭어로 ‘군’과 짝을 이루는 ‘양’도 격식을 갖추고 상대를 친근하게 대하는 말로 쓰였다. ‘군’과 마찬가지로 가족이나 친척이 아닌 사람들이 사용했다. ‘군’과 달리 남녀 불문하고 ‘양’을 불러 왔다. ‘양’이라고 부른 상대는 자신의 나이가 많고 ‘양’으로 불린 여성은 어리다는 사실을 알렸다. 미성년자에게만 ‘양’을 붙인 건 아니었다. 성인이더라도 결혼하지 않은 여성은 한때 ‘양’으로 불렸었다. ‘양’은 나이에 따른 위계도, 성에 따른 위계도 있는 말이었다.
일상에서 밀려났지만 언론 매체에서도 ‘군’과 ‘양’을 쉽게 볼 수 있다. 선은 확실해서 미성년자에게는 반드시 성명 뒤에 ‘군’과 ‘양’을 붙이려고 한다. 언론 매체가 ‘군’과 ‘양’을 쓰는 건 오랜 관습이기도 하지만 이 말들을 존칭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데 이 말들은 ‘손아랫사람’을 일컫는다. 언론 매체가 ‘손윗사람’에 속하지는 않을 것이다. 미성년 남녀를 ‘군’과 ‘양’으로 굳이 구별해 가리킬 일도 아니다. 이런 관행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는 이들도 있다. 새로운 호칭 방식을 찾는 게 좋겠다.
wlee@seoul.co.kr
2021-04-2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