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멀미 분석·모니터링 기술
가상현실(VR) 게임을 하기 위해서는 머리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라는 장치를 써야 한다. HMD를 장시간 착용하면 사용자에 따라 멀미나 구토, 어지러움, 피로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VR 기술 확산에 걸림돌이 됐다.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는 VR 영상 변수값과 뇌파, 맥파, 피부 전도도 등 생체정보를 이용해 인공지능으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소프트웨어를 만들었다. 개인별 멀미 유형을 생체정보 패턴으로 관찰해 분석한 것이다. 이번 기술은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 멀미를 줄이는 콘텐츠 저작도구, VR 제작 가이드라인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특히 연구진이 개발한 멀미 저감 콘텐츠 저작도구는 게임 제작 과정에도 적용이 가능해 개발 단계에서 멀미를 줄이는 요소를 포함시킬 수 있다. VR의 멀미 요소를 조절 가능하다는 말이다. VR게임을 만든 뒤 이번 기술을 활용한다면 사용자가 느끼는 어지러움의 정도를 미리 알 수 있다. 이번 기술이 적용된 VR 상용게임도 출시된 상태이다.
이와 함께 테마파크에서 롤러코스터 같은 탑승형 놀이기구의 의자에 앉아서 체험하는 모션플랫폼 VR에도 적용해 멀미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이번 기술은 국제표준기구로부터 최종 승인을 받았기 때문에 앞으로 고난도 작업훈련이나 정신질환 치료, 의료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VR 사용의 효용성 검증을 위해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 진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손욱호 ETRI CG/비전연구실 박사
2020-12-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