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사람과 길을 잇는 경춘선숲길/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

[자치광장] 사람과 길을 잇는 경춘선숲길/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

입력 2017-12-14 17:20
수정 2017-12-14 17: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
최윤종 서울시 푸른도시국장
경춘선은 추억과 향수가 가득한 기찻길이었다. 1939년부터 2010년까지 71년 동안 운행됐다. 누군가에겐 삶의 애환이 담긴 길이었고, 또 누군가에겐 청춘 시절 MT 가던 길이었거나 연인과 함께 거닐던 길이었을 것이다. 과거 수많은 추억을 싣고 달리던 경춘선 기찻길은 이제 사람이 걸어 다닐 수 있는 ‘경춘선숲길’로 다시 태어났다. 기찻길로 단절됐던 마을은 하나로 연결되었고, 숲길은 주민들의 소통 공간이 됐다.

경춘선 철로는 2010년 12월 폐선 후 기차로 인한 소음과 공해는 없어졌지만 무단 쓰레기 투기, 불법 주차, 청소년 탈선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 서울시는 방치되던 철길을 재생해 지역과 지역을 연결하고 사람을 잇는 숲길로 조성하고자 2013년 11월 경춘선숲길 조성 3단계 사업을 시작했다.

2015년 1단계 구간(1.9㎞)을 조성해 시민들에게 첫선을 보였고, 지난해 11월엔 2단계 구간(1.2㎞)을, 지난달엔 3단계 구간(2.5㎞)을 추가 개방했다.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 중인 남은 0.4㎞ 구간(행복주택부지)마저 완료되면 총연장 6㎞, 18만 4845㎡ 면적에 달하는 경춘선숲길 전체가 연결된다.

경춘선숲길은 기찻길을 고스란히 살려 조성한 만큼 땅이 가진 특성에 따라 각자 다른 매력을 느낄 수 있다. 단독주택 밀집지역에 위치한 1단계 구간은 마을을 대표하는 통행로가 됐다. 주택은 개조돼 카페 등으로 바뀌면서 마을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2단계 구간에선 주민이 직접 가꿔 가는 공동체 정원과 다양한 수목 등을 통해 땅이 주는 생명력을 체험할 수 있다. 주택가와 멀리 떨어진 3단계 구간에선 철길을 따라 한적하게 산책할 수 있고 등록문화재 300호인 화랑대역사의 고풍스러운 정취도 만끽할 수 있다. 또한 전 구간이 개방되면 서울에서 자전거를 타고 경기도 남양주(기존 경춘선 자전거길)를 거쳐 강원도 춘천까지 갈 수 있는 자전거길이 연결돼 서울의 새로운 자전거 코스 명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기찻길이 과거 지역을 단절시키고 사람이 찾지 않는 공간이었다면, 이젠 마을과 사람을 이어 주고 소통하는 지역의 중심 공간으로 거듭났다. 철로는 사람 길로, 기차 소리는 대화 소리로, 매연은 꽃향기 가득한 숲길로 다시금 태어났다.

경춘선숲길이 지닌 매력과 태릉·강릉, 전통시장 등 지역이 가진 다양한 이야기를 합쳐 경춘선숲길을 ‘서울의 보물’로 만들어 갈 것이다. 경춘선이 지역과 사람을 잇는 경춘선숲길로 새롭게 태어난 만큼 내 앞마당을 가꾸는 마음으로 숲길을 관리하고 이용해 주길 당부드린다.
2017-12-1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