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코끼리 머리의 가네샤가 주는 지혜/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의 아시아의 美] 코끼리 머리의 가네샤가 주는 지혜/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입력 2022-06-26 20:08
수정 2022-06-27 09: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 교수
달러 환율이 13년 만에 1300원을 넘는 고공행진을 이어 가고 있고, 코스피지수는 연중 최저점을 찍었다. 경기에 선행하는 주가지수가 낮아진다는 것은 내년 경제 전망이 어둡다는 의미다. 코로나 이후 살아날 경제를 기대했던 보통 사람들의 순진한 소망을 여지없이 무너뜨린다. 불과 몇 달 전까지 주식이니 코인에 열광하던 사람들이 버겁게 버틴다고 한다. 전 세계 경제가 연동돼 있으니 내 힘으로, 내 맘대로 되는 일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이럴 때 슬쩍 금은보화의 신 가네샤를 건네 주고 싶다. 내 힘으로는 안 돼도 신의 힘이라면 혹시 모른다.
이미지 확대
가네샤, 7세기, 캄보디아, 높이 74cm
가네샤, 7세기, 캄보디아, 높이 74cm
가네샤는 힌두교 신이다. 지금도 많은 인도 사람들이 좋아하는 인기 많은 신이다. 시바와 부인 파르바티의 아들인 가네샤는 코끼리 머리를 하고 있지만 처음부터 그랬던 것은 아니다. 막강한 힘을 가진 파괴의 신 시바가 히말라야에서 오랜 수행을 하고서 아무 기별 없이 갑자기 집에 돌아왔다. 호기롭게 문을 확 열고 들어왔더니 아내인 파르바티가 목욕을 하는데 바깥에 웬 젊은 남자가 있는 것이었다. 성질 급한 시바가 불문곡직하고 그 젊은이의 목을 베어 버렸다. 그러자 깜짝 놀란 파르바티가 달려 나와 “어떻게 당신 아들도 못 알아본단 말씀이오” 하며 울부짖었다. 시바가 홧김에 머리를 잘라 버린 그 남자는 자기가 집을 비운 사이에 훌쩍 커 버린 장남이었던 것이다. 파르바티는 통곡을 하고, 당황한 시바는 제일 먼저 만나는 동물의 머리를 붙여 아들을 살려 주기로 약속을 했다. 시바가 바로 문을 뛰쳐나가자 막 코끼리가 지나가고 있었다. 급히 아들을 살리기 위해 시바는 코끼리 머리를 베어다 아들의 몸에 붙였다. 이렇게 살려 낸 시바의 장남이 가네샤다.
가네샤, 8세기, 베트남 미썬, 참조각미술관
가네샤, 8세기, 베트남 미썬, 참조각미술관
가네샤는 재물의 신이기도 하지만, 장애와 번뇌를 없애 주는 신이라고도 한다. 문학과 학문의 보호자로서 시험을 잘 보게 해 준다는 믿음도 있다. 그러니 평범한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 것이 당연하다.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가네샤를 섬겼는데 특히 상인과 수험생들이 좋아했다. 인도에서도 크고 작은 가네샤 조각을 만들었지만 힌두교가 널리 전해진 동남아시아에서도 가네샤의 인기는 상당했다. 특히 바다를 통한 해상 교역이 활발했던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남부, 캄보디아에서 가네샤 신앙의 흔적을 잘 볼 수 있다.

동남아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던 신은 시바와 비슈누였다. 하지만 상인들의 자발적인 가네샤 신앙은 번성하기만 했다. 캄보디아 투얼픽킨에서 발견돼 지금은 프놈펜 국립박물관에 있는 가네샤는 상아는 깨졌지만 보존 상태가 좋다. 귀가 큼직하고 이마가 불룩한 코끼리 머리에 배가 바가지처럼 불룩하다. 7세기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단것을 좋아하는 가네샤가 코를 사탕 그릇에 박고 사탕을 빨아 먹는 모습이다. 인도, 동남아의 가네샤는 사탕을 먹느라 정신없는 모습인데 마치 열심히 공부하다 단것을 찾는 어린아이 같다. 코끼리같이 푸짐한 가네샤의 가호로 가가호호 벙긋 웃는 일만 생기면 좋겠다. 시험이든 주식이든 맘 쓰는 모든 일에.

2022-06-2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