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우리는, 괜찮을까?/탐조인·수의사

[주인의 날개달린 세상] 우리는, 괜찮을까?/탐조인·수의사

입력 2021-11-14 17:32
수정 2021-11-15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2021. 9. 충남 서천 유부도 갯벌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좀도요.
2021. 9. 충남 서천 유부도 갯벌에서 먹이 활동을 하는 좀도요.
그냥 울고 싶은 날이 있다. 오늘처럼 비가 오는 날도 그렇지만, 따사로운 햇빛에 윤슬이 반짝이는 맑은 날에도 ‘찬란한 슬픔’에 가슴이 미어지기도 한다. 썰물 탐조를 하던 그날도 그랬다.

볕이 좋았다. 물이 빠져나간 갯벌의 군데군데 고인 물이 보석처럼 반짝였다. 신을 벗고 양말만 신은 채 새들이 먹이 활동을 하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게 천천히 갯벌 위를 걸었다. 참새 정도로 작은 좀도요는 부리로 갯벌을 연신 찍어 대면서도 그 다리 길이로 상상할 수 없는 속도로 갯벌 위를 뛰어다녔다. 처음에는 나를 경계하더니 곧 멈춰선 내 가까이에서 먹이를 먹거나 내 다리 옆을 슝하고 지나가기도 했다.

조금 지나자 새를 향했던 나의 감각이 내 발로 옮겨졌다. 발에 닿는 부드러운 개흙의 느낌이 좋았다. 갯벌에 발을 딛고 있는 내가 뿌리를 박은 식물처럼 안정감 있게 느껴졌다. 발가락을 꼼지락거리자 동글동글한 조개도 느껴졌다. 갯벌은 생명 가득한 조개를 품고 나와 좀도요를 연결시켜 주었다. 날개 달린 좀도요도 나처럼 바로 이 갯벌에 뿌리를 박고 있었다. 개흙과 조개와 좀도요와 뒤뚱거리며 갯벌을 밟고 있는 나는 하나다. 무아의 상태가 햇살처럼 충만하게 나를 감싸 나는 황홀했다. 그러나 그 황홀한 기쁨 속에서 슬픔이 삐져나오고 있었다. 부드럽고 반짝거리며 생명이 충만한 갯벌이 너무 아름다워서 통곡을 하고 싶어졌다. 오랜 시간 이어져 온 아름다운 풍요가 곧 끝나 버릴 것 같아서. 인간 때문에.

좀도요를 비롯한 많은 도요는 북극권에서 번식하고 적도 지방이나 남반구에서 월동한다. 서해안의 갯벌은 그 중간 기착지로서 도요들의 생존에 아주 중요한 곳이다. 그러나 간척, 도시개발, 새만금 방조제 등으로 너무 많이 사라져서 도요새 수가 심각하게 줄었다.

해마다 유부도를 찾는 넓적부리도요는 이제 전 세계적으로 몇백 마리만 남은 심각한 멸종 위기 상태다. 유부도 인근 수라 갯벌은 생물다양성이 살아 있는 중요한 서식지인데, 현 군산공항으로부터 겨우 3㎞ 정도 떨어진 그곳에 신공항이 들어설 거라서 더 많은 새와 생명들이 삶터를 잃고 죽어 갈 것이다.

처음엔 넓적부리도요, 그다음엔… 이렇게 새들이 사라져 가도 괜찮을까? 신공항을 얻기 위해 그 모든 것을 버려도, 우리는, 사람은, 괜찮을까?
2021-11-15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