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 주말을 고비로 진정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던 방역 당국의 희망 섞인 전망은 불행하게도 빗나갔다. 4차 감염은 자고 일어나면 늘고 있다. ‘치사율은 높지만 전염력은 떨어진다’는 방역 당국의 초기 분석은 처음부터 빗나갔다. 최대 잠복기도 14일이라더니 16~18일 만에 발병한 환자가 속속 나타나고 있다. 방역 당국의 설명과 달리 2m 내 침방울 접촉이 없어도 감염된 사례도 다수 나타났다. 지금까지 알려진 메르스 상식이 들어맞지 않자 ‘한국형 메르스’가 새로 등장하면서 토착화한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이 됐다.
건강한 사람은 완치될 수 있다는 방역 당국의 설명도 안심할 수 없다. 어제까지 확인된 사망자 19명 중 3명은 지병이 없었다. 어제까지 환자는 154명으로 치사율도 10%를 훌쩍 넘어섰다. 고령자가 주로 발병한다고 했지만 환자 10명 중 4명꼴로 50세 미만이다. 불과 3년 전 발생한 신종 전염병인 탓도 있지만 애초에 메르스의 속성에 대한 진단부터가 잘못된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대구에서 처음으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서 이제 메르스가 발생하지 않은 광역단체는 인천, 울산, 제주 등 다섯 곳에 불과하다. 자고 나면 또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안타깝고 답답한 일이다. 사실상 전국적으로 이미 메르스가 확산됐다고 봐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에 대비한 준비를 해야 할 시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제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국민의 일상생활과 기업들의 경영활동이 정상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했지만 불행하게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희망 섞인 주문일 뿐이다. 방역체계의 허점을 그대로 드러내며 메르스가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거 없는 낙관론만 펼 때가 아니다. 오히려 2009년 신종플루 때처럼 ‘메르스와의 전쟁’이 길어질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정부는 국민들의 신뢰부터 회복해야 한다. 삼성서울병원에 방역 조치와 관련한 전권을 주었다가 사태를 이 지경까지 확산시킨 것을 비롯해 궁극적인 모든 책임은 정부에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공공·민간 부문을 가리지 않고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모두 동원해 지역사회로 메르스가 확산되지 않게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감염병 위기경보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장기적으로는 국가 방역망도 새롭게 짜야 한다.
국민들도 ‘메르스 파고’를 넘어서려면 적극 협력해야 한다. 위생수칙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자가 격리된 사람들도 다소 불편해도 방역 당국의 지시를 제대로 따라야 한다. 메르스 환자가 보건소의 지시를 어기는 등 무책임하게 행동한다면 나중엔 손을 쓸 수 없을 만큼 메르스가 확산될 수도 있다. 오는 20일이면 국내에 메르스 환자가 처음 발생한 지 한 달이 된다. 민관이 손을 잡고 한마음으로 대응한다면 메르스를 극복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자신감을 갖고 보다 철저하게 메르스와의 전쟁에 임해야 한다.
건강한 사람은 완치될 수 있다는 방역 당국의 설명도 안심할 수 없다. 어제까지 확인된 사망자 19명 중 3명은 지병이 없었다. 어제까지 환자는 154명으로 치사율도 10%를 훌쩍 넘어섰다. 고령자가 주로 발병한다고 했지만 환자 10명 중 4명꼴로 50세 미만이다. 불과 3년 전 발생한 신종 전염병인 탓도 있지만 애초에 메르스의 속성에 대한 진단부터가 잘못된 게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대구에서 처음으로 메르스 환자가 발생하면서 이제 메르스가 발생하지 않은 광역단체는 인천, 울산, 제주 등 다섯 곳에 불과하다. 자고 나면 또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르는 상황으로 전개되고 있다. 안타깝고 답답한 일이다. 사실상 전국적으로 이미 메르스가 확산됐다고 봐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메르스 사태가 장기화할 가능성에 대비한 준비를 해야 할 시점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제 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국민의 일상생활과 기업들의 경영활동이 정상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했지만 불행하게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희망 섞인 주문일 뿐이다. 방역체계의 허점을 그대로 드러내며 메르스가 재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근거 없는 낙관론만 펼 때가 아니다. 오히려 2009년 신종플루 때처럼 ‘메르스와의 전쟁’이 길어질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정부는 국민들의 신뢰부터 회복해야 한다. 삼성서울병원에 방역 조치와 관련한 전권을 주었다가 사태를 이 지경까지 확산시킨 것을 비롯해 궁극적인 모든 책임은 정부에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공공·민간 부문을 가리지 않고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모두 동원해 지역사회로 메르스가 확산되지 않게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감염병 위기경보도 ‘주의’에서 ‘경계’로 격상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장기적으로는 국가 방역망도 새롭게 짜야 한다.
국민들도 ‘메르스 파고’를 넘어서려면 적극 협력해야 한다. 위생수칙을 준수하는 것은 물론 자가 격리된 사람들도 다소 불편해도 방역 당국의 지시를 제대로 따라야 한다. 메르스 환자가 보건소의 지시를 어기는 등 무책임하게 행동한다면 나중엔 손을 쓸 수 없을 만큼 메르스가 확산될 수도 있다. 오는 20일이면 국내에 메르스 환자가 처음 발생한 지 한 달이 된다. 민관이 손을 잡고 한마음으로 대응한다면 메르스를 극복하지 못할 이유는 없다. 자신감을 갖고 보다 철저하게 메르스와의 전쟁에 임해야 한다.
2015-06-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