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2015학년도 수능시험부터 한국사를 필수과목에서 빼기로 했다고 한다. 서울대는 “국사 교육을 장려하기 위해 필수 응시 과목으로 지정했지만 오히려 서울대 가는 학생들만 보는 과목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사를 선택하는 학생이 더 줄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지만, 마땅히 재고해야 한다고 본다.
서울대는 국내 200개 4년제 대학 중 유일하게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대학이다. 그런데도 역사교육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는 시점에 한국사 교육을 외면하는 것으로 보이는 결정을 했다면 유감스러운 일이다. 서울대는 일본 도쿄대에 한국어과가 없다는 이유로 일어일문학과를 개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교육의 본질에 어긋나는 정치적 결정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나 서울대의 상징성을 감안, 이해할 만한 결정을 했다는 격려를 받은 터이기에 더욱 그렇다.
이번 방침은 더 이상 우수한 학생들을 다른 대학들에 빼앗기지 않겠다는 서울대의 입시전략으로도 보여 안타깝다. 대입전형이 자율화되면서 사립 명문대학들이 장학금을 앞세워 우수한 학생들을 입도선매하는 실정이다. 서울대로서는 대학법인화 이후 자생력을 기를 수밖에 없는 처지이니 역사과목에 부담을 느낀 우수 수험생들을 다른 대학들에 빼앗기지 않을 자구책을 마련한 셈이다.
교육당국은 한국사 교육 강화에 더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대학입시에 자율성을 부여한 만큼 일각의 주장처럼 한국사 필수과목화가 어렵다면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출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을 다양화하는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 사립대학을 제외한 국립대학만이라도 한국사의 필수과목 채택 및 전형요소 반영을 권장하는 방안도 있다. 궁극적으로는 현행 선택형을 골자로 한 수능체계에 대한 재검토도 필요하다. 수험생 부담 경감과 기초교육 강화라는 교육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지혜를 짜내야 한다. 한국사도 한국사이지만 이과의 기초학문인 물리과목 선택비율도 형편없이 낮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8개(과탐)와 10개(사탐) 과목으로 나눈 탐구영역 과목 수를 유형별로 묶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서울대는 국내 200개 4년제 대학 중 유일하게 한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지정한 대학이다. 그런데도 역사교육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여론이 비등하고 있는 시점에 한국사 교육을 외면하는 것으로 보이는 결정을 했다면 유감스러운 일이다. 서울대는 일본 도쿄대에 한국어과가 없다는 이유로 일어일문학과를 개설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서도 교육의 본질에 어긋나는 정치적 결정이라는 비판도 있었으나 서울대의 상징성을 감안, 이해할 만한 결정을 했다는 격려를 받은 터이기에 더욱 그렇다.
이번 방침은 더 이상 우수한 학생들을 다른 대학들에 빼앗기지 않겠다는 서울대의 입시전략으로도 보여 안타깝다. 대입전형이 자율화되면서 사립 명문대학들이 장학금을 앞세워 우수한 학생들을 입도선매하는 실정이다. 서울대로서는 대학법인화 이후 자생력을 기를 수밖에 없는 처지이니 역사과목에 부담을 느낀 우수 수험생들을 다른 대학들에 빼앗기지 않을 자구책을 마련한 셈이다.
교육당국은 한국사 교육 강화에 더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대학입시에 자율성을 부여한 만큼 일각의 주장처럼 한국사 필수과목화가 어렵다면 학생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갖출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을 다양화하는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 사립대학을 제외한 국립대학만이라도 한국사의 필수과목 채택 및 전형요소 반영을 권장하는 방안도 있다. 궁극적으로는 현행 선택형을 골자로 한 수능체계에 대한 재검토도 필요하다. 수험생 부담 경감과 기초교육 강화라는 교육적 가치를 조화시킬 수 있는 지혜를 짜내야 한다. 한국사도 한국사이지만 이과의 기초학문인 물리과목 선택비율도 형편없이 낮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8개(과탐)와 10개(사탐) 과목으로 나눈 탐구영역 과목 수를 유형별로 묶는 방안이 대안이 될 수 있다.
2013-07-02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