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미 보스턴 테러 강 건너 불 아니다

[사설] 미 보스턴 테러 강 건너 불 아니다

입력 2013-04-17 00:00
수정 2013-04-17 00: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미국 보스턴 마라톤대회 결승선 근처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해 17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참사가 벌어졌다. 출전한 내 남편과 아내, 우리 엄마와 아빠가 언제쯤 모습을 드러낼까 고개를 빼고 기다리는 수천 관중들이 모여 있던 봄볕 따뜻한 현장은 삽시간에 핏빛의 아비규환으로 바뀌고 말았다. 2011년 3000명 남짓한 사망자를 낳으며 전세계를 경악하게 한 9·11 테러 사건 이후 12년 만에 미국 본토에서 벌어진 테러 사건이다. 당시의 아픔이 채 가시지 않은 미국인들이 다시 한번 충격에 휩싸였을 것임은 짐작하고도 남는다.

테러는 미국에서만 벌어진 게 아니다. 지방선거를 닷새 앞둔 이라크 곳곳에서도 어제 연쇄 폭탄테러가 발생해 300~400명의 사상자를 냈다. 2011년 미군 철수 이후 더욱 악화된 치안 공백과 정국 불안정에 따른 것이라는 점에서 보스턴의 참사와 성격이 좀 다르다고 하겠으나, 불특정 다수의 무고한 시민들을 희생양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반인류적 죄악임은 하등 다를 게 없다고 하겠다.

결코 강 건너 불로 봐 넘길 일이 아니다. 지난 2월 3차 핵실험 이후 도발 위협 수위를 높여온 북한은 남한 사회를 겨냥한 테러 가능성을 공공연히 언급해 왔다. 주요 방송사와 금융사를 대상으로 한 3·20 사이버 테러가 북의 소행으로 드러난 바 있으나, 북의 도발이 사이버상에만 머물 것이라고는 누구도 장담 못 할 일이다. 북한은 지난달 초부터 정찰총국장 김영철 등을 통해 ‘상상을 초월하는 다종화된 핵 타격’을 호언해 왔다. 핵 공격을 지칭했으나, 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테러와 같은 형태의 공격을 저지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사이버상에서와 마찬가지로 오프라인에서의 테러 역시 예측이나 사전 대응이 거의 불가능하고 범행 주체와 배후 등을 밝혀내기도 힘든 대신 공격 대상의 불안과 공포는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북으로선 그런 도발 유혹을 뿌리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그제 정부 관계부처와 군, 경찰, 지자체 등이 통합방위실무위원회를 열고 북한의 테러에 대비해 정보 공유체제를 구축하기로 한 것은 그나마 시의적절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다만 일상에 쫓기는 시민들이 외우고 다닐 리 만무한 ‘1661-1133’이라는 8자리 숫자를 테러위험 신고전화랍시고 내놓은 것은 탁상대책의 전형이 아닐 수 없다. 테러 대응은 민간의 동참 없이는 불가능하다. 보다 실효성 있는 현장형 태러 대응 태세를 강구해야 할 것이다.

2013-04-17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